▲ Happy Days, 53.5×53.5㎝ Mixed Media on Canvas, 1998

Seen from the showing form, she can be seen to be close to Delrone from the aspect in that Delrone made war against original light and color, while Picasso or Braque represents towards Cubism in the expression of form dismanting and math differently.

손문자 작가가 보여주고 있는 형식으로 보아 그는 피카소나 브라크처럼 큐비즘으로 나아갈 때 형태해체와 양괴의 표현에서 썼던 것과는 달리 오히려 들로네가 자신의 독자적인 빛과 색채와 전쟁을 벌였던 것으로 보면 그는 들로네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However, Moon-Ja Sohn denies meaningless arrangement and construction. Since she recognizes firmly that color is an important means of painting in plastic construction not a simple sensuous expression means, her painting shows somewhat unfamiliar paradigm bearing figurative world in contents, being abstract in form.

그러나 결코 서양화가 손문자(ARTIST SOHN MOON JA, 孫文子)는 무의미한 색채의 나열이나 구성은 거부한다. 이미 색채라는 것이 단순한 감각적 수단이 아닌 조형적 구성에 있어 회화의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음을 명백하게 인식하고 있기 때문인데, 그래서 손문자의 그림의 형식은 추상의 모습이지만 내용은 지극히 구상적인 세계를 담고 있는 낯선 패러다임을 보여준다.

▲ 15.5×22㎝, 1998

Her painting has freshness in our painting circles, while still asnd monotonous look in figure painting. Being felt less tediousness and monotonousness in the painting is more superior, her painting is less pictorial in that point.

그의 그림이 우리 화단에서 신선함을 가지고 있는 반면, 그는 인물 표현에 이어 아직은 경직되고 패턴화된 모습들을 보였고 있다. 만약 우리가 그림 속에서 지루함과 단조로움을 느끼지 않는 것이 보다 회화적이라고 말한다면 그 점에서 그의 그림은 덜 회화적이다.

There is a necessity to check the construction if the world view of artist or consistent attitude about painting drawn too respective from in figure expression is not considered as a simpleness.

또한 인물 표현에 있어서 지나치게 반복적인 형태를 끌어들이는 작가의 세계관이나 그림에 대한 일관된 자세가 단순함으로 비춰지지 않는다면 그의 잇는 구성도 검토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 45×45㎝, 2000

Nevertheless, I think her work would bring splendid development of Korean constructivism painting as we expect and wish it. Let's see the world of art that she aims. We see that now she has already approached 'way' opening her new world passing through the course of 'Happy Day'.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그의 작업이 그리 오래지 않아 기대하고 소망하는 대로 우리나라 구성주의 회화의 눈부신 전개를 가져오리라고 생각한다. 여류화가 손문자가 지향하고 있는 예술의 세계를 보자 ‘행복한 날’의 과정을 지나 이제 그는 새로운 세계를 열어 보이는 ‘길(Way)'로 이미 접어들고 있음을 본다.

▲ 45×45㎝, 2000

The world was a desire or land of idealistic artist, approaching the horizon of happiness and peace sought for and was in agony ardently for a long time. The song of the land is a symphony producing with the harmony of color and construction, and we listen to her peaceful tone in the solid formal beauty, it's not a mere chance in finding the family in the center.

그 세계는 그가 오랫동안 치열하게 고민하며 추구해 왔던 행복과 평화의 지평에 다다르고자 하는 이상적인 예술가의 욕망이자 땅이었다. 그 땅의 노래는 두 말 할 것도 없이 색채와 구성의 하모니가 빚어내는 심포니이며, 우리는 그 견고한 조형미 속에서 그의 평화로운 음색을 듣는다. 그래서 그 중심에 언제나 가족이 놓여 있음을 발견 하는 것은 전혀 우연이 아니다.

△글=김종근(미술평론가, 홍익대학교 겸임교수)/Kim, Jong-Gun(Art Critic Associate prof. at Hong ik 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