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창농’(創農)을 강조하지만 농촌은 여전히 젊은이들에게 기피 대상이다.  농촌은 가난한 지역인데다  농업에 종사하면 미래 수익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각계 전문가들은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첨단 기술을 접목한 농업의 육성이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지금처럼 영세한 소농(小農) 위주의 농업 환경에서는 젊은이들이 열심히 일하고 싶어도 어른 세대와 같이 지원금에 목을 맬 수밖에 없다고 이들은 강조한다.  

▲ 한국농어촌빅텐트 '4차산업혁명 현장 전문가들이 보는 대한민국 미래농업'이라는 간담회에서 발언하는 민병두 더불어민주당 의원(촬영=천영준 기자)

‘창농보다는 취농(就農)이 중요하다'

더불어민주당 민병두 의원은 최근 한국농어촌빅텐트와 농어촌공사ㆍ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 주최한 ‘4차산업혁명 현장 전문가들이 보는 대한민국 미래농업’이라는 세미나에서 “창농보다 취농이 훨씬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민 의원은 “젊은이들이 계속해서 농촌으로 유입되기 위해서는 농업 자체를 매력적인 환경으로 만들어야 한다”면서 “농업을 농촌의 전유물이 아니라 도시와 연결된 산업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민 의원은 “농업 분야의 첨단화를 기업화의 첨병이라고만 보지 말고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차원에서 스마트팜ㆍ실내농장 등의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한국형 스마트팜 모델에 대해 발표하는 이인규 NIR 랩 대표. 출처=이코노믹리뷰 천영준 기자)

스마트팜, 진짜 흑자 내려면

김용호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창업성장팀장은 스마트팜과 첨단 농업을 통한 농산물의 수익모델을 제안했다 

 김 팀장은 “스마트팜 연구개발만이 중요한 게 아니라 스마트팜 시설을 통해 만든 작물을 어떻게 비즈니스 모델로 구축하느냐가 중요하다”면서  “내수용 작물과 해외용 작물을 구분해 경쟁력 있는 상품을 만들어 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네덜란드와 벨기에 등에서 이미 특허권을 갖고 있고 기술이 표준화되어 있다”면서 “한국 기업들이 계속해서 기술료를 지불하며 사서 쓸 것인지, 진짜로 ‘돈 되는 스마트팜’ 모델을 만들 것인지 선택의 기로에 놓였다”고 주장했다.

세미나의 발제자인 이인규 대표는 “현재 수준으로 보면 국내 스마트팜은 경쟁력이 없다”면서  “네덜란드의 농업과 국내의 농업을 절대비교하기보다는 국내 시장의 구조 안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장 국내 스마트팜이 돈을 많이 벌지 못하는 이유는 농산물 가격 경쟁력 때문이다. 토마토의 경우 한국 시장 기준으로 kg 당 1600원이다. 중국에서 생산된 제품은 kg당 300원 정도의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이 대표는 “농산물 가격으로 전가되는 에너지비용ㆍ토지 구매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어야만 스마트팜이 본격적인 가치를 발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돈이 되는 스마트팜을 빨리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 농장 대부분이 40%가 넘는 에너지 비용 때문에 곤경을 겪고 있다. 셀트리온 러시아 농장장을 역임한 해외 농업 전문가인 이 대표는 “네덜란드나 벨기에의 스마트팜이 어느날 갑자기 오늘날과 같은 경쟁력을 갖췄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라면서 “네덜란드는 북해에서 뽑아올린 싼 LNG 가스로 스마트팜에 대량의 전기를 공급하고 에너지 효율성을 거두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열 히트펌프ㆍ태양광 등 싼 값에 농업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재생에너지 환경이 필요한 이유다.

김건우 수성대 부총장은 “스마트팜 전문가들이 이미 인도네시아, 태국 지역에서 7만달러 이상의 연봉을 받고 있고, 코린도 그룹 등의 기업에서 일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김 부총장은 “스마트팜 분야는 생산 단가ㆍ인건비ㆍ기술 노하우 등의 측면에서 정보 비대칭이 심하다”면서 “시장 참여자들을 연결해 줄 수 있는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