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이 쓰릴 때 복용하는 ‘프로톤 펌프 억제제(PPI)’ 계열의 약물을 오래 먹으면 위암 발생률이 최대 8배 이상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프로톤 펌프 억제제’는 위산 분비를 줄여주는 약이다. 속쓰림이나 위산이 올라오는 역류성 식도염 치료에 자주 처방된다.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PPL제재 제품으로는 아스트라제네카의 넥시움, 한미약품의 에소메졸캡슐, 종근당의 오엠피에스캡슐, 유유제약의 ‘에소원’ 등이 있다. 이들은 의사의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이다. 그래도 주의가 필요하다.

매일 PPI 복용한 환자 위암 발생 위험 커
홍콩대학과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대학 연구팀은 2003~2012년 사이 위염이나 위산 과다 역류 등을 치료받은 사람 6만 3000여 명을 대상으로 평균 7.5년 동안 위암 발생률 등을 추적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일(현지시간) 밝혔다.

연구진은 위암과 위염의 주요 요인인 헬리코박터(H) 파일로리균을 죽이는 약물로 ‘PPI’와 또 다른 계열의 위산 분비 억제제 ‘H2 차단제’를 비교 실험했다. 그 결과, 두 억제제 모두 모두 H파이로리균 감염이 완치돼 위암 발생 위험은 현저히 줄었다.

▲ 출처=이미지투데이

그런데 연구종료 시점인 2015년까지 조사한 결과, 대상자들 중 PPI 복용자의 경우 위암 발생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복용 기간이 길수록 위암 위험이 더 커졌다.

매일 PPI를 복용한 환자는 1주 한두 차례 복용자에 비해 위암 발생 위험이 4.5배 컸다. 복용 기간이 1년 이상인 경우는 5배, 2년 이상은 6배, 3년 이상은 8배로 증가했다.

이 연구에 앞서도  PPI과 위암 발생 위험 간 상관관계를 증명하는 연구들은 있었다. 그러나 이들 연구는 위염, 위 궤양, 위암 발생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의 영향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조사한 것이었다. 연구팀은 이 균에 감염된 사람을 치료한 후, 그 영향을 없앤 상태에서 조사를 실시했다.

이에 연구를 주도한 리처드 페레로(Richard Ferrero) 교수는 “이번 연구는 PPI 복용이 위암을 발생시켰다는 인과관계를 규명한 것은 아니다”면서 “다만 헬리코박터(H) 파일로리균을 제거한 상태에서 PPI 복용 시 위암이 발생했다는 것을 확인했다. 파이로리균을을 제거한 뒤에도 PPI를 장기 처방하는 것에 조심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男 6개월 이상 PPI제재 복용하면 정자 수 3분의 1로 감소 등 부작용 

PPI 제제의 부작용은 위암 외에도 다양하다. 지난해 10월 네덜란드 로테르담의 에라무스대학은 20~30대 남성이 6개월 이상 PPI 제제를 장기 복용했을 때 정자 개수가 3분의 1로 떨어져 불임이 증가한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PPI 제제의 프라졸 성분이 건강한 정자 형성에 중대한 역할을 하는 바타민B의 결핍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11월에는 코펜하겐에 있는 덴마크 심장 협회 연구소 토마스 세헤스테드 박사 연구팀이 PPI와 뇌졸중 발병간 상관관계를 규명했다. PPI를 장기간 복용한 환자들은 복용하지 않은 이들과 비교해 6개월 내 허혈성 뇌졸중과 심근경색 발병 위험이 높았다. 또 고용량 PPI를 복용한 환자에게서도 이러한 질환 발병 위험이 상승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PPI 복용군에서 허혈성 뇌졸중 위험은 1.13배, 심근경색 위험은 1.31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량 PPI를 복용할 경우 허혈성 뇌졸중 위험은 1.31배, 심근경색 위험은 1.43배 높았다. PPI를 장기간 복용한 환자군은 비복용군보다 6개월 이내에 허혈성 뇌졸중이 발병할 위험이 29%, 심근경색 위험이 36% 더 큰 것으로 확인됐다.

대한상부위장관학회지에 최근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PPL제재를 1일 1회 40㎎을 초과해 쓸 경우에는 정상인보다 폐렴 발생 위험이 1.89배로 높았다. 급성 설사 위험은 2배로 높고, 간경변증을 앓으면 복막염 발생 위험이 2.7배로 높아졌다.

서울백병원 내과 문정섭 교수는 “위산 분비가 줄어 위액의 산도(PH)가 높아져 위 살균력이 낮아진 것이 원인”이라면서 “폐렴은 위에서 살아남은 세균이 폐로 옮겨져 과증식한 것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급성 설사도 위에서 죽지 않은 병원균이 장까지 내려와 발병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에는 PPI를 장기간 복용하면 사망 위험도 증가할 수 있다는 연구도 발표됐다. 미국 임상 역학조사 기관의 얀시에(Yan Xie) 교수팀이 PPI 복용군과 히스타민 2 수용체 길항제 복용군 또는 PPI 비(非)복용군을 비교한 결과, PPI 복용군에서 사망 위험이 최대 1.2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PPI를 장기간 복용할수록 그 위험은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출처=이미지투데이

시에 교수는 “위장관 상태와 관계없이 PPI를 복용하면 사망 위험이 높아졌고, 복용 기간이 길수록 급증했다”면서 “PPI를 무분별하게 장기간 복용하는 것을 제한해야 하며 반드시 필요한 환자만 복용하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부분 의사 처방 필요한 전문의약품…무분별한 장기 복용 피해야
이러한 부작용 때문에 전문가들은 무분별하게 PPL제재를 장기 복용하는 것을 피하고, 꼭 필요한 환자만 복용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PPL제재 제품으로는 아스트라제네카의 넥시움, 한미약품의 에소메졸캡슐, 종근당의 오엠피에스캡슐, 유유제약의 ‘에소원’ 등이 있다. 이들은 의사의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