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적으로 사업의 근간은 물건을 제조하고 판매하는 일을 말한다. 그러나 플랫폼 사업이 발전하고 모바일 시대가 도래하며 이미 존재하는 인프라를 활용하는 소위 파생 사업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다양한 사례가 있지만 특히 눈길을 끄는 것은 자동차를 활용한 O2O 플랫폼 사업이다. 제조업의 총아라고 불리는 자동차 서비스의 중심은, 이제 완성차만 있는 것이 아니다.

▲ 카카오택시 블랙. 출처=카카오

카카오 모빌리티

카카오가 카카오 모빌리티를 분사시켰다. 우버를 비롯해 다양한 온디맨드 기업에 투자한 글로벌 대체 투자자 TPG로부터 이미 5000억원의 투자를 받은 상태에서 화려한 시동을 건 셈이다. 대표작은 카카오택시다. 하루 호출 150만여건에 월간사용자수(MAU)가 372만명에 이르는 거대 플랫폼으로 성장했다. 카카오 모빌리티를 대표하는 킬러 콘텐츠가 될 전망이다.

카카오드라이버는 대리운전 시장에 뛰어든 카카오의 역작이다. 다만 기존 대리운전 업계의 불합리함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영악하게 접근했으나 예상보다 큰 호응을 얻고있지는 않다는 후문이다. 내비게이션 분야는 록앤올의 김기사를 인수한 카카오내비가 핵심이 되어 카카오 모빌리티 사업의 기본 인프라로 작동한다. 그리고 주차장은 오는 하반기 서비스될 전망이다.

카카오는 카카오 모빌리티를 통해 택시와 대리운전, 주차와 내비게이션까지 모두 아우르게 됐다. 여기에 소소한 비즈니스 모델이 붙는 수준이다. 개인을 대상으로 서비스되는 카카오택시는 콜비가 없지만 기업택시 사업에는 콜비가 붙을 전망이다. 당연히 카카오페이가 간편결제 솔루션으로 네 개의 사업부문에 모두 적용이 되어 별도의 생태계를 구축하면서 그 외 제반 생활 O2O 영역도 자연스럽게 그려진다.

최근 카카오 모빌리티는 경기도 부천시청에서 김만수 부천시장, 임명호 부천시설관리공단 이사장, 안규진 카카오모빌리티 이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부천시, 부천시설공단과 공동으로 ‘주차 정보 공유 및 주차 서비스 업무 협약’ 을 체결하며 본격적인 시운전에 나서기도 했다.

문제는 수익화다. 카카오는 최근 영업이익이 다소 살아나고 있으나 이미 확보된 인프라에 비해 비즈니스 모델이 약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심지어 유료과금 플랫폼인 카카오드라이버를 통해 사업의 외연을 B2B로 확장시키는 행보를 보여주고 있으나 이러한 시도가 ‘시장의 기대’에는 부합하지 않는다는 말이 나온다.

그러나 모빌리티를 중심으로 O2O 역량을 집중, 이를 바탕으로 빅데이터 운용까지 뛰어드는 장면은 고무적이다.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수요와 공급을 연결하는 온디맨드 본능을 여실히 보여줄 것으로 예상된다. 정주환 대표는 "교통과 이동 영역을 아우르는 모빌리티 영역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한국을 대표하는 모빌리티 기업으로서 글로벌 시장에서도 지속적인 혁신을 보여줄 것” 이라고 밝혔다.

▲ T맵과 누구의 만남. 출처=SKT

내비게이션도 중요한 전장

카카오 모빌리티의 핵심 중 하나인 카카오내비도 포함되는 전체 내비게이션 시장도 자동차를 기반으로 작동하는 플랫폼 사업이다. SK텔레콤의 누구와 T맵이 만나는 지점을 유심히 살필 필요가 있다.

최근 SK텔레콤은 T맵과 인공지능 스피커 누구를 연동시켰다.T맵x누구(T map x NUGU)가 그 주인공이다.

우선 내비게이션 기능 측면에서 T맵x누구는 운전 중 화면 터치 없이 음성만으로 목적지를 신규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게 해 교통 안전성을 크게 높였다는 평가다. 나아가 운전 중 음성 명령만으로 누구 스피커가 제공하는 30여 가지 기능 중 운전에 특화된 약 10가지를 사용 가능하며 커넥티드 카 서비스도 누릴 수 있다.

T맵과 누구의 만남은 빅데이터 확보, 인공지능 서비스 고도화라는 내적 생태계 강화에 큰 도움이 된다. T맵은 지난해 7월 타 통신사 사용자들에게 유료로 제공되던 서비스를 무료로 개방한 후, 8월 기준 월 사용자가 1014만명에 이르며 모바일 내비게이션 시장의 약 68%를 점유하고 있다. T맵의 일 평균 사용자가 240만명에 이르는 점을 고려하면 이들 이용자가 2건씩만 음성명령을 이용해도 매일 인공지능이 학습 가능한 데이터가 480만 건이나 된다.

효과는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SK텔레콤에 따르면 T맵x누구의 다운로드 사용자가 출시 18일만에 300만명을 넘어섰으며, 최근에는 매일 30만에서 40여만건 수준의 다운로드가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생태계도 고무적이다. SK텔레콤은 T맵x누구 이용자들의 사용 패턴 분석 결과, 인공지능 내비게이션에 적용된 터치리스(Touchless) 방식의 대화형 UI(User Interface)가 차량 내 운전 방식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이용 패턴 분석 결과 인공지능 내비게이션 서비스 중 가장 많이 이용하는 기능은 ▲목적지 찾기(48.5%) ▲음악 듣기(23.4%) ▲볼륨 조정(6.6%) ▲날씨(6.3%) 순으로  나타났다.

이용자들은 운전 중 음성만으로 목적지(48.5%)를 찾을 수 있고, 원하는 음악(23.4%)을 주문해서 들을 수 있는 대화 방식의 인공 지능 내비게이션 본연의 기능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또 볼륨 컨트롤(6.6%) 및 T맵 종료(3.2%) 등 기존에는 스마트폰 터치를 통해 실행했던 조작들을 자주 활용, 인공지능 내비게이션이 제공하는 달라진 운전 환경에 빠르게 적응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SK텔레콤 이상호 AI사업단장은 “T맵x누구는 안전과 즐거움 두 가지 측면에서 자동차 생활이 진화하는 교두보가 될 것”이라며, “인공지능 누구를 자동차 생활뿐만 아니라 홈, 레져 등 다른 생활 영역으로 연결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이상호 AI사업단장. 출처=SKT

카풀 서비스 삼파전

카풀 서비스도 주요 관전 포인트다.  현재 국내 카풀 서비스는 풀러스와 럭시, 그리고 후발주자인 우버쉐어가 있다. 풀러스는 지난 3월 대규모 업데이트를 통해 최강자의 입지를 다지는 중이다. 최근 풀러스 드라이버 앱은 기존 티맵 지원에 이어 카카오내비를 새로 추가했으며 풀러스 드라이버들은 보다 익숙한 인터페이스의 내비게이션을 선택하여 길안내를 받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는 뜻이다.

안전을 위한 음성 채팅 기능도 추가됐다. 카풀 매칭 후 라이더가 드라이버에게 메시지를 보내는 경우, 앱의 ‘음성 채팅’ 기능이 운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채팅 내용을 음성으로 읽어준다는 설명이다. 드라이버 역시 메시지를 손으로 입력할 필요 없이 음성인식으로 라이더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럭시는 다소 주춤하고 있지만 여전히 카풀 시장에서 의미있는 존재감을 보이고 있다.

우버쉐어도 시동을 걸었다. 우버쉐어는 주말과 공휴일을 제외한 요일에 출퇴근 목적으로만 정해진 시간대(오전 6~ 10시, 오후 5~12시)에 운행된다. 지역은 강남구로 한정되며 점차 확대될 전망이다.

우버쉐어는 기존 우버앱을 통해 사용이 가능하다. 앱을 실행하고 목적지를 입력한 후 ‘쉐어’ 버튼을 누르면 바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우버는 탄소발생량을 줄이는 환경오염 방지, 나홀로 차량을 줄여 교통혼잡을 줄이는 한편 색다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우버쉐어의 목표로 내 걸어 눈길을 끌기도 했다.

▲ 출처=쏘카

카셰어링..뜨거운 혈투

쏘카와 그린카가 대표주자다. 일반 렌트업체와 달리 말 그대로 쏘카는 차량을 공유하며, 편의점을 오프라인 거점으로 활용하는 한편 신규 쏘카존도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SK의 든든한 지원을 바탕으로 카셰어링 업계의 강자로 군림하고 있다. 이에 맞서는 그린카는 롯데의 지원을 받고있다.

카셰어링 업계는 개인이 자동차를 구매하는 것이 아닌, 차량을 공유하는 시대를 적절하게 보여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여기에는 경기불황에 따라 차량 구매 여력이 떨어진 것도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ICT 업계 측면에서 바라보면 개인화된 특화 플랫폼을 공유한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라이드 셰어링을 비롯해 카셰어링은 자율주행차를 바탕으로 공유되는 '인공지능 개인화 특화 이동 플랫폼'의 근간을 차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카셰어링은 모바일 기술의 발전으로 온라인 경쟁력을 오프라인 지형의 변화로 끌어내려는 노력이 빨라지는 상황에서 O2O의 실질적 비즈니스 모델로까지 여겨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