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ffectionate Things, 227×182㎝ Korean Paper & Oil Painting on Canvas, 2007

 

A painting on the surface made by overlapping Korean papers and soft relief artwork is making a deep space with absorbing any colors. Especially, material feeling of square attracted the attention as a tactual space unlike conventional geometrical abstract.

박동윤 작가의 겹쳐지는 색의 층은 혼란스러움과는 거리가 멀다. 질서와 비례, 구성의 조화 등 완벽한 구성을 꿈꾸는 듯하다. 사물의 재현이 아닌 색채를 통한 사각의 형성은 애정이 깃든 사물의 리얼리즘과 전혀 다른 초자연적 화면의 질서와 조화를 보여주는 추상회화로 거듭난다.

 

▲ 30×30㎝ Hanji on Canvas, 2008

 

In his note, the most important part of his artwork is a tactual sense of square made by Korean papers. Tactual sense of Korean paper formulates natural color and mysterious mood with soft and accidental surface layer. Moreover, casting work of square using Korean papers for engraving works maximizes the effect of materials sense. Material sensual effect of the surface which shows the character of the artist is appraised as a unique formative language.

작가노트에서 자신의 작업에 가장 중요한 부분은 한지로 만드는 사각의 질감이라고 한다. 한지의 질감은 그 부드러움과 우연에 의한 표면층이 형성되어 자연스런 색채와 함께 신비로운 분위기를 연출한다. 또한 조각적 작업으로 한지를 이용한 사각의 캐스팅 작업은 질감의 효과를 극대화한다. 서양화가 박동윤의 개성이 돋보이는 표면의 질감효과는 독자적 조형언어로 평가받는다.

 

▲ 162×162㎝, 2007

 

Object approaching through material feeling of square and identification work of ego depend on how to vivify the characteristics of object on the surface. Owing to the effect, material feeling of square becomes more determined in the space of reason, furthermore, it advances for identification investigation of ego earlier.

사각의 질감을 통한 사물의 접근이나 자아의 확인 작업은 결국 물질의 특성을 표면에서 어떻게 살리느냐가 관건이다. 사각의 질감은 그 효과로 인해 사유의 공간으로 깊이가 확고해지고, 더 나아가 자아의 정체성 탐구에 한걸음 앞서 나가게 된다.

 

▲ 227×130㎝, 2007

 

The surface which squares are overlapped forms the space, and speaks about the time from the past to the future. Time was a mark of memory tied up to traditional objects. However, time of square in abstract expression is advent in different time to physical time. Time is supernaturally advent with jumping from the future, present and fantasy. It tries to contain identification of ego in time of square which is recorded by the marks of repeated activities and memory.

사각이 겹치는 표면은 공간을 형성하면서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시간을 이야기한다. 시간은 전통적 사물에 얽힌 기억의 흔적이었다. 그러나 추상표현에서 사각의 시간은 물리적 시간과 다른 시간이 등장한다. 과거와 현재, 미래, 혹은 현실과 환상을 넘나들며 시간은 초자연적으로 등장한다. 반복된 행위의 흔적과 기억에 의해 기록되는 사각의 시간에 자아의 정체성을 담고자 한다.

△유재길(홍익대 교수, 예술학박사)/Professor, Ph.D in Fine Arts Yoo Jae gil

 

키워드

#권동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