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다드앤푸어스(S&P)가 한국을 둘러싼 대내외 위험요인들을 점검, 특히 중국 사드 리스크로 한국기업들의 향후 신용도 개선은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또 가계부채 문제가 가계와 금융권에 부담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S&P의 주요 발표자들은 14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국제금융센터가 주최한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 속 한국 신용도 개선은 가능한가’ 주체의 세미나에 참여했다.

박준홍 S&P아시아태평양지역 한국기업 신용평가 팀장은 “2015년 이후 한국 기업들의 신용등급은 개선 추세에 있다”며 “한국 기업의 86%가 안정적인 등급 전망을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한국 기업들의 신용도 개선 추세가 앞으로도 이어지기는 어렵다”며 “중국 리스크, 주력 수출제품의 초과공급 가능성, 정부의 규제·정책 변화 등이 주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중국 리스크 관련 산업으로는 유통, 배터리, 자동차를 꼽았으며 ‘사드’(THAAD) 이슈도 문제지만 중국 현지 업체들의 경쟁력 강화도 한국 기업들의 부진요인으로 꼽았다.

박 팀장은 “현대·기아차는 중국 실적 부진으로 글로벌 자동차시장 점유율도 떨어지고 있다”며 “낸드플래시 시장도 샌디스크, 인텔 등 글로벌 기업들이 공격적으로 투자하고 있어 후발주자인 SK하이닉스에도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한편, 이날 세미나에 참여한 킴엥 탄 아태지역 국가신용평가팀장은 북한 리스크가 한국 금융시장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진단했다.

킴 앤 탄 팀장은 “북한이 핵무기 개발을 가속화하면서 장·단기적으로 한국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확대되고 있다”면서도 “이와 관련된 리스크를 한국 신용등급에 반영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국내 위험요인으로는 1400조원에 이르는 가계부채 문제가 지적됐다.

라이언 창 S&P 글로벌 신용평가 전무는 “높은 수준의 가계부채가 문제”라며 “또 한국의 시중은행들은 저금리 환경에 노출되고, 순이자 마진 경쟁, 대손 비용 등이 부담요인”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정부가 가계부채 문제를 인식, 각종 정책을 통해 리스크를 통제해 부동산 가격의 급락을 방지하고 있다”면서도 “시중은행들은 영업환경의 불확실성, 일관성 없는 은행 위기 예방책 등의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