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유적 공간, 116×112㎝ oil on canvas, 2006

 

Objets kept changing over time, but the essence of his work remains unchanged: it is a visual intertwining of the inner stories, silently spewed out by the living. It is no different this time. In our meeting in preparation for my writing of this introduction, he showed me his pieces one by one, repeating several times, “I want to tell stories.”

서양화가 이석주의 일관된 주제는 ‘우리들의 삶’이다. 오랜 세월 동안 양식과 소재는 변화를 거듭했지만 그의 작업은 살아있는 자(者)가 무음(無音)으로 토하는 내적 이야기를 가시적으로 엮는 것이었다. 이번 전시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전시서문을 위해 만난 그는 작품을 하나하나 꺼내어 보여주며 ‘이야기를 하고 싶다’고 몇 번을 되뇌었다.

 

▲ 사유적 공간, 91×50㎝ oil on canvas, 2006

 

But he did not, not in words. He did not explain the concept behind his works, nor did he present any of his past brochures or critics’ reviews. All he said was, “I want to tell stories.” What stories did he want to tell? Le places together Vermeer’s Girl in a Turban, Ingres’ Odalisque, old movie posters, crinkled old books and wilting flowers in an infinite and transcendant space.

그러나 그는 어떤 이야기도 하지 않았다. 그가 한 말은 ‘이야기를 하고 싶다’는 그것뿐이었다. 무슨 이야기를 하고 싶은 것은 걸까? 이석주는 베르메르의 터번을 두른 소녀, 앵그르의 오딜리스크, 빛바랜 낡은 영화 포스터, 낡고 구겨진 책, 금방이라도 시들어 버릴 것 같은 꽃 등을 무한하고 초월적인 공간 속에 위치시키고 있다.

 

▲ 사유적 공간, 91×50㎝ oil on canvas, 2007

 

Lee’s juxtaposition of everyday objects is reminiscent of the surrealist depaysement technique or an extreme form of obsession of the objets. But for him, depaysement is a way to break away from the quotidian concept of time and space, and the juxtaposition of everyday articles is an attempt to compress into the canvas the associations to everyday life. They are similar to the symbols of vanitas in the 17th Dutch still paintings, the metaphor to the ephemeral nature of life.

이석주 작가의 일상적 사물들의 병치는 초현실주의의 데페이즈망 기법을 연상시키기도 하고 혹은 소재에 대한 극단적인 집착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한다. 그러나 그에게 있어 데페이즈망 기법은 시간과 공간의 타성적 관념에서 벗어나기 위함이며 주변에서 흔히 보는 사물들의 병치는 일상에 관계된 연상작용을 화폭에 응집시키기 위함이다. 이것은 17세기 네덜란드의 정물화 속에 내재된 인생 무상함을 은유하는 바니타스(vanitas)의 상징과 유사하다.

 

▲ 사유적 공간, 91×50c㎝ oil on canvas, 2007

 

But rather than assigning a symbolism to each and every object, like in the Dutch vanitas still paintings, Lee zooms into certain dimensions of the object, using the close-up traits as a way to deliver, wordlessly, the stories hidden deep inside. The close-up dimensions are detached from their everyday function, going off in search of the remnants of lost time. We leave time every moment.

이석주(李石柱)화백은 네덜란드 바니타스 정물화처럼 사물 하나하나에 상징을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의 단면을 클로즈업해서 그 물성을 통해 심연 깊숙이 감추어져 있는 이야기를 무언으로 전달하길 원한다. 클로즈업 된 사물의 단면들은 일상적 기능에서 이탈되어 잃어버린 시간의 잔해를 찾아 나선다. 우리들은 매순간 시간과 이별한다.

△Written Kim Hyeon-hwa(Professor of Art History, Sookmyung Women’s University)/김현화(숙명여대 교수, 미술사)

 

▲ 작품구상 사색에 잠긴 이석주 화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