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생산자물가지수가 5개월 만에 반등했다. 폭염 등으로 채소가격을 비롯한 일부 농산물 가격이 크게 오른 탓이다.

2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7월 생산자물가지수는 전달에 비해서 0.1% 오른 101.84을 기록했다. 생산자물가지수는 소비자물가지수의 선행지수로 국내 생산자가 국내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도매물가를 의미한다. 이 지수는 2010년을 기준(지수 100)으로 현재의 물가를 지수 형태로 산출한다.

이지수가 올랐다는 것은 머지 않아 소비자물가지수가 상승할 것을 예고한다.

생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서는  3% 상승해  9개월 여속 상승세다.

▲ 출처=한국은행

생산자물가는 올해 2월 102.70을 찍은 이래 유가하락 영향으로 3월 0%, 4월 -0.2%, 5월 -0.3%, 6월 -0.4% 등 하락폭을 키우다가 7월 5개월 만에 반등했다.

생산자물가지수 반등은  농산물이 8.4%  오르면서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 상추(257.3%), 시금치(188.0%), 오이(167.6%), 배추(97.3%) 등 채소가 폭염과 홍수 등 이상기후 탓에 작황이 좋지 않아 전월보다 2∼3배로 치솟았다.

축산물은 4.0% 하락했다. 조류인플루엔자(AI) 충격에 고공행진 한 계란과 닭고기 가격이 전월보다 각각 10.8%, 2.7% 내렸다. 그럼에도 계란값은 1년 전보다 여전히 78.4% 높은 수준이다.

수산물도 갈치(-23.0%) 등 중심으로 1.6% 내렸다. 냉동오징어(112.6%)와 조기(69.4%) 가격은 1년 전보다 매우 높다.

농림수산품 전체로는 전월대비 1.5% 상승했다.

공산품과 전력·가스·수도는 전달에 비해 각각 0.2% 하락했고, 서비스는 운수·음식점·숙박 등이 올라 0.2% 상승했다. 국내 생산품의 전반적인 가격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출하 외에 수출을 포함하는 총산출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3% 상승했다.

▲ 출처=한국은행

지난달 상품 및 서비스 가격 변동을 가공단계별로 구분해 측정한 국내 공급물가지수는 전월달에 비해 0.2% 떨어졌다.  항목별로 원재료는 수입가격이 내려 전월 대비 3.3% 하락했고, 최종재는 국내출하와 수입가격이 올라 전월 대비 0.2% 상승했다. 중간재는 전월 대비 보합권에 있다. 에너지와 IT는 전월 대비 각각 0.2%, 0.1% 상승했다.

한국은행은 "생산자물가에 기조적 변화는 없다"면서  "살충제 계란 이슈는 공급 측면에서는 상승요인인데 수요가 어떻게 될지 지켜봐야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