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오염 계란으로 식품안전에 비상이 걸리고 농림축산식품부가 계란 농장 전수조사에 들어간 가운데 정부의 잔류 농약 검사와 검역에 허점이 있었는 게 아니냐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 밀집사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양계장(출처=wdfpark.tistory.com)

농림축산식품부는 15일 브리핑에서 지난해부터 피프로닐 검사를 했고 올해는 검사 대상을 대폭 확대해 정기로 검사를 해왔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60개 표본을 추출해 피프로닐 검사를 한 결과 모든 농장에 문제가 없었으며, 올해 들어서는 3월에 친환경 산란계 농장(681곳),  4~5월에 유통 중인 친환경 계란 농장(157곳) 검사를 했다고 설명했다. 

김용상 농식품부 구제역방역과장은 “2년 전 외국 산란계 농가에서 피프로닐 관련 문제가 제기됐고, 2015년 탐색 조사를 한 결과 문제 발생 가능성이 포착돼 지난해부터 정식 조사 대상에 포함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살충제의 위험성을 알고도 국내에서 생산된 계란에 대한 검사를 사실상 2년간 방치한 것을 자인한 것이다.   지난해까지는 살충제 계란이 사실상 무방비로 유통됐다고 볼 수 있다

지난해 11월 벨기에에서 수입산 달걀 중 피프로닐 성분이 검출됐다는  보도로 큰 파문이 일어났지만 국내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벨기에에서는 네덜란드에서 수입한 달걀 중 일부에서 피프로닐 성분이 검출되자 “네덜란드가 계란 오염에 대해 제대로 된 정보를 공유하지 않는다”고 논란이 일어났다.  뒤카르므 벨기에 농림부 장관은 네덜란드 정부의 정식 해명을 요구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을 요구하기도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달 초에야 ‘살충제 계란’이 유럽 전역으로 수출되었다는 동향을 파악하고 뒤늦게 오염 계란 전수 조사를 준비한 것으로 알려졌다.

더욱이 지난해 정기검사 결과 모든 농장에 문제가 없었다지만 지난 14일 경기도 남양주(피프로닐), 경기도 광주(비펜트린) 지역 농가에서 살충제성분이 발견된 데 이어 16일 강원도 철원(피프로닐)과 경기도 광주(비펜트린) 등 두 농가에서도 살충제 성분이 발견된 것을 보면 정부의 정기 검사에 허점이 있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피프로닐 검사가 없었던 지난해 계란 검사 총 5456건 중 위반농가는 7농가(0.11%)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만 봐도 그렇다.

더욱이 오염 계란에 대한 조사는 이뤄졌지만 정작 근본 원인을 해결하는 처방은 부족했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전문가들은 ‘살충제 계란’의 가장 큰 원인으로 하나의 비좁은 공간에  닭 한 마리를 넣어 키우는 케이지형 밀집사육을 꼽고 있다.

국내 대다수 양계장이 밀집사육을 하면서 많은 양의 닭을 좁은 공간에 몰아서 기르고 있는 게 문제라는 것이다. 마리당 공간이 비교적 넓지만  창없이 기구나  환기 장치를 설치한 '무창계사'도 있지만 비중은 낮다.  또 양계장 안에다 닭을 풀어놓는 방사형 사육이나 산이나 들 등에 방목해 기르는 사육 등도 있지만 역시 비중은 낮다.

닭을 양계장에서 비우지 않은 채 닭에다 살충제를 뿌리는 관행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지난해 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 국정감사에서 기동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농가들이 닭 위에 농약을 그대로 분사하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지만 이런 관행은 전혀 개선되지 않았다.

 강원도 양양에서 방목형 닭 사육을 하고 있는 신재승 굿앤굿 대표는 이코노믹리뷰 통화에서 “닭이 충분히 흙 목욕을 하면서 운동을 하면, 자연히 이(와그모)를 털어 낼 수 있는데 밀집된 계사에서는 거의 불가능하다"면서 "케이지형 사육을 하는 농가들은 손쉽게 관리하기 위해 살충제를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