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 농업의 기업화 수준이 점점 올라가고, 농업에 종사하는 젊은이들의 수도 늘어나고 있다. 일본 농림수산성에 따르면 일본 국내 기업형 농장 수는 지난 해 말 기준으로 2만 800개에 이른다. 2005년에 8700개였던 수준보다 약 세 배 가량 성장한 셈이다. 49세 이하 농산업 종사자도 2만 3000명에 육박한다. 5년 전에는 1만 8000명 정도였다. 일본에서는 매년 1000명씩 ‘젊은 농부’가 늘어나고 있는 셈이다. 

▲ 미야기 현에서 대형 영농법인 GRA를 운영하고 있는 이와사 히로키 씨(출처=GRA 홈페이지)

급속한 기업화와 청년 농부의 유입 원인은 스마트팜 등 첨단 기술을 적용한 농업의 기회 때문이다.

미야기 현(宮木縣) 야마모토쵸(山本町)에서 GRA라는 농업회사법인을 운영하고 있는 이와사 히로키(岩佐大輝)씨는 개당 1천엔(한화 기준 1만원) 짜리 딸기를 생산하는 ‘대농’(大農)이다.

그는 원래 도쿄에서 IT 컨설팅 회사를 운영하다가 첨단 온실에서 재배되는 딸기 농사에 관심을 갖고 고향인 야마모토 쵸로 낙향했다.

그의 회사인 GRA는 20명의 정규직 농부와 50명의 파트타임 농부를 고용하고 있다. 이와사 씨의 농사는 자동화 기술을 바탕으로 한 증산(增産)이 핵심이다. 기존 농사보다 약 90% 가까이 적은 양의 물과 비료를 사용하고 최적의 결과를 이끌어 내는 것이 이와사 씨의 GRA가 지닌 핵심 역량이다. 농장에서 생산된 딸기는 싱가포르, 태국, 중국 등 아시아 각국으로 수출된다. 이와사 씨는 일본 전국을 돌아다니며 스마트팜 전문가로 강연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 GRA 영농법인이 첨단 농법을 적용, 생산하는 미야기 딸기(출처=GRA 홈페이지)

최근 로이터가 보도한 바에 따르면 일본 농업계 전문가들은 2030년까지 연매출 5천만엔(5억원) 이상의 대농이 일본 국내 농가의 3분의 1 수준에 육박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일본 정부가 꾸준히 농지와 관련된 규제를 풀고 있고, 농협 개혁 등을 통해 마을 공동체 단위에서도 스마트팜 기술을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금 등을 기획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베 정권은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관세에 의해 보호되던 쌀 시장과 육류 시장의 개방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해 첨단 농법에 기반한 종자개량 및 수출 시장 개척 등을 준비 중에 있다.

현재 일본에서는 수입산 쌀에 대해 킬로그램(kg) 당 341엔(약 3500원) 가량의 관세가 부과되고 있고, 벼농사의 경우 0.1 헥타르당 10만 500엔(한화 기준 110만원) 가량의 직불금이 지급되고 있다. 그러나 아베 정부는 WTO를 비롯한 각종 국제 기구가 요구해 올 경우 이 시스템을 원점에서 재검토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20년 전 대학을 졸업한 후 동경에서 직장 생활을 하다가, 야마모토 쵸로 낙향한 요코타 슈이치(橫田修一) 씨는 더 이상 농민들이 현실에 안주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요코타 씨는 “농업도 혼다나 도요타처럼 극심한 경쟁 환경에 내 몰리고 있는 상황이다. 농민도 경영에 실패하면 망한다는 각오로 생업에 임해야 한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요코타 씨는 현재 140 헥타르에 걸쳐 벼농사를 짓는 농업회사법인을 운영 중이다.

스마트팜 전문가인 이인규 NRA 그룹 상무는 “일본에서도 농업의 첨단화와 대규모화, 생산원가 절감 및 시장 확대를 위한 정교한 마케팅 등으로 무장하며 시장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