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다수 농가가 영농 외이 결제활동으로 소득을 얻고 있고 고소득 농가일수록 이 소득이 큰 만큼 정부는 마을기업과 사회적 농업 협동조합 등 농업과 관련된 다양한 활동을 권장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 농가 다면적 활동의 유형(출처 ; 농촌경제연구원)

 

현재 우리 농가 10가구 중 8가구 이상이 영농 외의 활동으로 소득을 올리고 있다. 2015년도 농가경제조사 자료에 따르면 영농 외의 경제 활동을 수행하는 농가는 전체의 83.7%로 나타났다. 농업을 활용해 다양한 사업을 하는 ‘경영 다각화 농가’는 16%였다. 60.5%의 농가는 임금을 통해 농사외 소득을 얻었고 나머지는 임노동자 등 일시 노동으로 생계를 보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2015년 농가경제조사 농민의 소득 분위별 분포(출처 : 농촌경제연구원, 단위 : 천원)

고소득 농가일수록 이런 영농 외 경제활동에 따른 소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경제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전체 농가 소득을 3분(숫자가 낮을수록 저소득층)했을 때 고소득 농가인 3분위 집단은 1399만원을 농사로, 1600만원 가량을 농사 외 소득으로 올렸다. 반면 저소득 농가인 1분위 집단은 664만원을 농사로, 120만원 가량을 농사 외 소득으로 얻었다.

따라서 농정 당국은 농가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다면적 활동’(multifunctionality)을 권장하고 그 방향은 체험 농업, 식당 경영, 농축산업 경영 등의 방향으로 이행하는 게 바람직하다. 본업인 농업과 유관한 활동은 농촌의 일자리도 창출하고, 지속 가능한 생계 유지에도 기여하기 때문이다.

▲ 2015년 농가 유형별 특징 비교(출처 : 농촌경제연구원)

 

농업계 관계자들은 무작정 농업에만 전념하는 ‘전업농’을 육성하기 보다는 상품의 패키징과 유통, 판매까지 하는 ‘전문농’ 단계로 농가를 진화시켜야 한다고 강조한다. 2015년 다고농가경제조사 따르면 소득수준이 상위일수록 전업농(43.3%)보다는 전문농(86.5%)이 많았다. 하위 집단은 농사 외에 다른 기술을 갖추지 못한 농가(59.2%)가 많았다. 중간층은 전업농이 32.3%였다.

결국 농가가 계층 상승의 사다리를 타고 오르기 위해서는 다른 형태의 경제활동을 통해 생계 기반을 충분히 다지는 작업이 꼭 필요하다. 연간 100억 대 매출을 올리고 있는 ‘식탁이 있는 삶’ 김재훈 대표도 “잠깐 동안 대기업을 다닌 경험이 농부인 내 일을 객관화하고, 다른 세상으로 시야를 넓히는 데에도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농가들이 농업에서 지나치게 멀어지지 않으면서 농사 이외의 소득을 올리기 위해서는 상품의 가공과 유통, 지역민 간의 네트워킹 등 농업과 어느 정도 관련이 있는 다면적 활동으로 할 필요가 있다. 네덜란드 농업학자들이 ‘농업 경영 다각화’(farm diversification)라는 개념으로 신품종 작물 재배, 농식품 가공 판매 등의 6차 산업 관련 대안을 제시한 것을 주목해야 한다.

전직 농식품부 관계자는 “문재인 정부가 지역 살리기 차원으로 강조하고 있는 지역 재생 회사(community regeneration corporation)나 사회적 기업 형태로 농민들을 조직화해 다양한 노하우를 이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공유 경제 개념’을 농촌에 적극 적용해 농민들의 수익 다각화를 위한 네트워크 지원 정책을 뒷받침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농어촌 빅텐트 조용환 총괄간사도 “농민들의 삶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농기계 공유경제, 마을 네트워크 강화를 통해 정보 취득 비용을 줄여 농업 경영비를 낮춰주는 정책 지원이 동반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