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한국은행

우리나라 국민들의 소득 대비 가계대출 비율(LTI)이 200%를 넘어섰다. 가계에서 버는 연간소득의 두배 가량 빚을 지게 된 셈이다.  

향후 금리가 상승할 경우 저축은행‧카드 등 비은행금융기관에서 가계대출을 한 취약계층의 채무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국은행이 22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가계대출 차주의 소득대비 가계대출 비율(LTI)은 지난 3월 말 현재 205.5%로 집계됐다. 이는 2012년 말(167.9%)에 비해 37.6% 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특히 LTI가 500%를 상회하는 차주의 비중은 2012년말 6.6%에서 2017년 1분기에는 9.7%로 상승했다.

한국은행은 보고서를 통해 “가계의 소득여건 개선이 미흡한 상황에서 향후 대출금리가 상승할 경우 차주의 채무상환부담 증대로 이어져 연체율이 높아질 수 있다”며 “채무상환이력 정보에 대해 높은 가중치를 두고 있는 현재의 신용등급 평가 방식 하에서 금리상승에 따른 연체율 상승은 개인 신용등급의 전반적 하락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 과정에서 실제로 연체가 발생하거나 신용등급이 하락한다면 더 높은 가산금리를 적용받게 되므로 채무상환부담은 더욱 커질 수 있다.

보고서는 금리가 상승할 경우 저신용 차주의 상환부담이 더욱 커질수 있다고 경고했다. 저신용자들은 신용등급 간 가산금리의 격차가 큰 신용대출, 이자율이 높은 저축은행‧카드사 대출상품을 이용한다. 대출금리 상승폭이 더욱 커질 경우 상환부담이 커지고, 다시 신용등급 하락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될 가능성이 크다.

▲ 출처=한국은행

다만 고신용(1∼3등급) 차주의 비중은 지속해서 커졌다.

올해 3월 말 가계대출 차주 가운데 고신용 비중은 54.4%로 2012년 말보다 13.3%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금융기관들이 위험 관리 차원에서 고신용 차주에 대한 대출을 많이 취급했고, 저금리가 장기화되면서 꾸준한 상환이 가능했기 때문이라고 분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