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도암은 식도에 생기는 악성 종양이다. 국내 전체 암 사망률의 2.4%를 차지하며, 전 세계 암 사망률은 6위이다.

식도는 잘 늘어나기 때문에 크기가 작을 경우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증상이 나타났을 때는 이미 다른 곳으로 전이된 경우가 많다. 게다가 일단 암세포가 발생하면 림프절을 통해 주변 장기 및 기관으로 빠르게 전이되기 때문에 5년 생존율이 40%도 채 되지 않을 정도로 예후가 나쁘다. 따라서 식도암의 위험인자를 밝혀 암을 조기에 발견할 확률을 높이고,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출처=이미지투데이

음식 삼키기 어려운 ‘연하곤란’, 구토, 쉰 목소리 등 증상 나타나
식도는 음식이 지나다니는 길이라는 특성상 암이 자라나면서 음식을 삼키기 어려운 ‘연하곤란’ 증상이 동반된다. 처음에는 고기 같은 고체 형태의 음식을 삼키기 힘겹다가 암이 더 진행되면 물조차 넘기기 어려워진다. 연하통도 있을 수 있다. 주로 연하곤란 증상과 동반되며, 음식물이나 침을 삼킬 때 통증을 느끼게 된다. 지속적으로 심한 통증이 있으면 전이를 의심해야 한다.

체중 감소도 흔히 발생한다. 그 외에도 구토, 출혈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주변에 있는 신경들이 눌려 쉰 목소리, 만성 기침이 나타날 수 있다.

韓, 저체중·고간수치라면 발병 위험 3.65배 높아
식도암 발병의 주요 원인은 흡연과 음주이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담배를 많이 피울수록, 음주량이 증가할수록 식도암 발생도 증가한다. 또 ▲영양소 결핍 ▲소금에 절인 음식 과다 섭취 ▲뜨거운 음료 과다 섭취 등 식도에 지속적인 자극을 주는 식습관도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식도암 발현 확률을 증가시키는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식도암은 크게 식도선암과 식도편평세포암으로 나뉘는데, 주로 서양에서는 식도선암 발병률이 더 높다. 그간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식도선암의 주요 위험인자는 비만이다.

반면 한국에서 발생하는 식도암의 95% 이상은 편평세포암에 해당된다.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최윤진·이동호 교수팀에 따르면, 편평세포암의 위험인자는 저체중에 높은 간 수치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이 40세 이상 838만 8000여 명의 의료 정보를 평균 8.7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저체중(체질량지수 18.5Kg/m² 미만)인 사람은 정상체중군(18.5~23Kg/m²)에 비해 식도암 발생 확률이 40% 이상 높았다. 간 수치를 나타내는 감마글루타밀전이효소(GGT)가 40IU/L 이상인 경우엔 16IU/L 이하인 사람에 비해 식도암 발생 확률이 2.22배 높게 나타났다.

▲ 출처=이미지투데이

감마글루타밀전이효소는 간 손상의 지표로, 남성은 11~63IU/L, 여성은 8~35IU/L 이내면 정상이라고 본다.

한편 저체중이면서 감마글루타밀전이효소가 40IU/L 이상인 경우에는, 정상 체중이면서 40IU/L 이하인 사람보다 위험도가 3.65배로 크게 높아졌다.

따라서 저체중이거나 감마글루타밀전이효소 수치가 높은 상황이라면, 식도암 예방과 조기발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절제술 多 시행…금주하면 재발 위험성 50% 이상 낮아
식도암이 발생했을 때 주로 시행되는 것은 외과적 절제술이다. 이는 국소 재발 방지와 근본적 치료를 위한 절제를 목적으로 시행된다. 식도와 주변의 림프절과 종격동 지방조직을 함께 광범위하게 절제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여러 층의 식도 벽 중에 점막 조직에만 암이 있다면 수술 없이 내시경을 통해서도 절제술이 가능하다.

여기에 로봇 수술 장비를 이용하면 생존율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흉부외과 김대준·박성용 교수팀에 따르면, 로봇 수술기를 이용한 식도 및 림프절 절제술을 받은 식도편평상피암 환자들의 5년 후 생존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세히 살펴보면, 수술 5년 후 전체 환자의 76.2%가 생존했다. 또 수술 후 5년까지 전체 환자의 79.4%가 재발을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암의 확산이 빠르기 때문에, 암이 처음 진단되었을 땐 이미 주변 조직으로 퍼져있거나 원격 전이가 발생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최근에는 수술과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를 함께 시행한다.

▲ 출처=이미지투데이

식도암은 조기에 치료를 받아도 재발이 높다. 절제하고 남은 식도의 다른 부분에 재발되는 것이다. 재발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선 ‘금주’를 해야 한다.

아사히(朝日)신문이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일본 전국의 16개 의료기관으로 구성된 연구팀이 내시경 치료를 받은 환자 3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추적조사 결과, 치료 후 2년이 지난 시점에서 다른 곳에 새로 암이 생긴 확률은 금주하지 않은 사람의 경우 16%인데 비해 금주한 사람은 9%에 그쳤다. 더 긴 기간 추적조사를 한 결과, 금주한 사람의 재발위험은 금주하지 않은 사람에 비해 53% 낮았다.

식도암 의심되기 전 정기적인 내시경 검사받아야
모든 암이 그렇듯 식도암도 초기에 발견하는 것이 완치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그래서 조기진단과 정기검진이 매우 중요하다.

식도암은 건강검진 시 위내시경과 식도 내시경 검사에서 발견된다.

내시경은 식도암이 의심될 때 반드시 시행해야 할 검사이다. 직접 식도 점막을 관찰하기 때문에, 조기 식도암에서 나타나는 병리적 변화를 발견할 수 있다.

내시경 검사처럼 확진을 내리는 검사는 아니지만 종양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되는 방법에는 바륨(barium) 식도조영술이 있다.

컴퓨터단층촬영(CT)은 병의 진행 단계를 확인하고, 절제 가능성을 파악하는 데 필요하다. 폐, 간, 뼈, 림프절 등 전이가 됐는지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