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여성 암 발병률 1위 암인 유방암 환자가 국내에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2011-2015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해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유방암’ 질환으로 인한  진료인원은 10만 4293명(2011년)에서 14만 1379명(2015년)으로 4년 간 3만 7086명 증가(35.6%↑)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 출처=이미지투데이

한국인에게 많이 발견되는 특정 유전자 변이, 고령 출산 등이 원인
유방암 발병원인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다. 그런데 최근 유방암·난소암을 유발하는 새로운 유전자 돌연변이가 국내 의료진에 의해 발견됐다. 이 변이는 한국인에게서 주로 발견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세암병원 암예방센터 박지수 교수와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이승태 교수 연구팀에 따르면 ‘안젤리나 졸리 유전자’로 알려진 BRCA1에서 나타나는 ‘L1780P변이(c.5339T>C p.Leu1780Pro변이)’를 보유한 한국인의 경우 유방암·난소암 발병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BRCA1, 2 유전자는 부모로부터 변이를 물려받을 경우 유방암 발생률을 10배, 난소암 발병률을 40배 이상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때문에 BRCA1, 2 유전자 변이 검사는 암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연구에 따르면 유전성일 가능성이 높은 유방암·난소암을 진단받은 한국인 환자 중 1.5%가 L1780P변이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암을 진단받지 않은 일반인과 비교하면 환자군에서 이 변이를 보유하고 있는 비율이 41.2배에 이른다.

특히 L1780P변이를 보유한 환자군의 데이터베이스를 재분석하면 이 변이를 보유한 한국인은 만 40세까지 유방암을 진단 받을 확률이 73.6%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유전자 변이를 보유하지 않은 사람의 경우 만 40세 이전 유방암을 진단 받을 가능성이 1% 미만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매우 높은 수치다.

산모의 나이와 출산 방법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령임신부가 증가하고 있는데, 지난해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전체 출산 중 35세 이상 여성의 분만건수가 1993년에는 2만7162건에서 2013년 8만8209건으로 20년간 16.42% 증가했다. 그런데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종양내과 강은주 교수와 산부인과 조금준 교수 연구팀은 ‘고령분만’과 ‘제왕 절개 분만’이 산후 유방암 발병의 중요한 위험 인자로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 35세 이상 고령 산모의 유방암 발병 위험이 그렇지 않은 산모에 비해 2배 이상 높았고, 제왕절개 산모 역시 발병 위험이 약 1.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산후 유방암에 있어 산모의 나이와 출산 방법이 주요한 원인으로 해석 될 수 있다.

연구팀에 따르면 2010년 1월부터 2012년 12월31까지 출산자 138만4551명 중 출산 1년 이내에 유방암이 발병한 환자는 총 317명이며, 35세 이상의 산모의 경우 35세 미만 산모와 비교해 산후 유방암 발생 위험률이 2배나 높았으며 제왕절개를 받은 산모의 경우도 산후 유방암 위험이 1.2배 높았다.

지난 2010년 출산자 45만7924명을 3년간 추적해 분석한 결과에서도 출산 3년 이내 산후 유방암 발생은 35세 이상의 산모가 35세 미만 산모보다 위험도가 2.8배 높았다. 또한 제왕절개를 시행한 산모 역시 1.2배로 높아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효과적인 항암제 ‘입랜스’ 환자 지원으로 사망률 낮아지나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2015년 암 사망자 수는 10만 명 당 150.8명을 기록, 1998년 집계 이래 2011년에 이어 두 번째로 감소세를 보였다. 유방암을 조기 발견했을 경우 5년 생존율은 90%가 넘는다. 하지만 2000년 유방암으로 인한 사망률은 여성 인구 10만 명 당 4.8명이었으나, 점차 증가해 2015년에는 9.2명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전체 유방암 환자 10명 가운데 3명은 완치 판정을 받고도 또 다른 장기에 암이 재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바로 '전이성 유방암' 때문이다. 생존율을 높이는 새로운 항암제가 나왔지만, 치료 비용이 비싸 많은 환자들이 복용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 출처=이미지투데이

화이자의 전이성 유방암 치료제 ‘입랜스(팔보시클립)’는 세포 분열과 성장을 조절하는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아제를 선별적으로 억제해 암세포의 증식을 막는다. 지난해 8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호르몬수용체 양성 및 사람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2 음성(HR+/HER2-), 폐경 후 여성의 일차 내분비 요법으로서 레트로졸 병용 또는 내분비 요법 후 질환이 진행된 여성에서 풀베스트란트 병용요법으로 시판 승인을 받았다.

문제는 ‘입랜스’의 효과만큼 비용도 높았다는 것이다. 비급여 처방이 가능한 전국 20곳의 종합병원에서 풀베스트란트와 병용할 경우 한달 약값만 500~700만원가량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투병 중인 환자들에겐 ‘입랜스’의 급여화가 절실한 상황.

이에 한국화이자제약은 지난해 하반기 입랜스의 국민건강보험 적용을 위해 급여를 신청, 현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급여적정성을 검토하는 과정 중에 있다. 하지만 항암제의 급여적정성평가 기간이 다른 약제에 비해 걸리는 시간이 길어, 한국화이자는 환자지원 프로그램을 시행키로 했다. 

화이자제약 관계자는 “프로그램은 오는 6월 중으로 시행되며, 급여권 진입이 결정될 때까지 한시 적용된다. 프로그램과 관련된 자세항 사항은 미정된 상태“”라고 설명했다. 

유방암 전이 예측으로 불필요한 진료비 줄여
유방암 전이를 예측해 불필요한 2차 수술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 연구 결과도 나왔다.

유방은 특징적으로 암세포가 림프관이나 혈액을 타고 겨드랑이의 림프절로 전이되기 쉽다. 이에 따라 유방암 환자의 수술은 유방 절제술뿐 아니라 겨드랑이 림프절 절제도 함께 시행하게 된다. 이때 감시 림프절(암세포가 첫번째로 도달하는 림프절)에 전이가 발견되는 경우 유방암의 재발률이 높아지고 생존율은 저하되기 때문에 겨드랑이 ‘림프절 곽청술’을 함께 시행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림프절 곽청술’을 시행하는 경우, 어깨와 팔의 통증 및 감각이상을 초래할 뿐 아니라, 견관절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정상적인 움직임의 회복에 약 12개월이 소요된다. 이러한 가운데 겨드랑이 림프절 전이를 보이는 환자의 60%에서는 전이된 림프절의 수가 1개 또는 2개에 그쳐, 전체 림프절 곽청술의 이득보다 부작용이 클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는 상황.

현재 전이가 있는 감시림프절의 수는 보통 수술 중 시행하는 ‘동결절편 조직검사’를 통해 확인하게 되는데, 동결절편 검사는 신속한 결과를 알 수 있지만 최종적인 조직 결과를 판단하는 ‘파라핀 포매’ 검사에 비해 정확성이 떨어진다. 또 전이된 림프절 개수의 판단에도 파라핀 포매 검사 결과에서 동결절편 검사와 다른 결과를 보일 수 있어, 검사 상의 한계 때문에 결국 액와부에 2차 수술을 하게 되거나, 불필요하게 겨드랑이 림프절 곽청술을 시행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중앙대학교병원 유방외과 김민균 교수팀은 ‘유방암 림프절 전이 예측 노모그램’을 개발했다. 이 프로그램은 수술 전 겨드랑이 초음파 검사 결과와 흉부CT검사(전산화단층촬영), 환자의 나이를 점수화해 3개 이상의 림프절 전이와 ‘겨드랑이 림프절 곽청술’의 필요 여부를 예측한다. 기존 림프절 전이 검사(동결절편 검사)의 부정확성의 한계를 극복한 것.

연구팀에 따르면 유방암 환자 1917명의 수술 결과를 분석, 노모그램 수립 후 유방보존수술을 받는 별도의 초기 유방암 환자 512명에게 적용한 결과 11.7%의 환자에게서만 수술 중 림프절의 동결절편 검사를 시행해 동결절편검사 시행에 따르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었다.

동결절편검사를 시행하지 않은 88.3%의 환자 중 조직검사(파라핀 포매검사) 결과에 따라 최종적으로 2차 수술(겨드랑이 림프절 곽청술)을 시행한 환자는 1.6%에 불과한 것을 확인했다. 노모그램의 유효성을 입증한 것.

이에 김민균 교수는 “초기 유방암 환자에게 있어 노모그램을 통해 겨드랑이 림프절 곽청술을 피할 수 있는 환자군을 선별해 불필요한 수술 및 부작용을 줄임으로써 환자의 진료비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