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 65×50㎝ oil on canvas, 2001

 

However, what shall be focused on the painting history of ARTIST LEE DONG SU is the trace of precise horizontal brush touch that serves as a boundary or overlays on the image. Traces of this precise brush touching are the subjects to be analyzed since they are shown in his works afterwards as well. I would like to call it as "The Skin of Presence" since this expressive feature is the calling in the present through the memory or unchangeable existence.

그러나 무엇보다 이동수 작가의 회화적 궤적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이 이미지의 중첩적 구조를 경계화 혹은 교접시키고 있는 미묘한 수평적 붓터치의 자취들이다. 이 수평적 흐름의 미묘한 가필의 흔적들은 이후 작품들에서도 이어진다는 점에서도 간과할 수 없는 비평적 분석의 대상이 아닐 수 없다. 필자는 이동수의 이런 표현적 특징을 기억의 현재적 호출, 재현의 불변적 각인이라는 의미에서‘현존성의 살결(The Skin of Presence)’이라고 부르고자 한다.

 

▲ 시간의 벽-그림자, 91×72.5㎝

 

Ironically, the skin of presence, that was the precise painting gesture, serves as a mediation function that idea world is created, disappeared, or meets with the current world possessed by Platon. Painting works in the narrative image was placed in the resting phase when the private exhibition named <Time-Conversation> was opened by the invitation of Art planet in 2001. In fact, career break from this period up to 2004 was also when he prepared for a new work while living in Sokcho in Gangwon-do.

아이러니하게도 이러한 미묘한 회화적 제스처(Gesture)였던 현존성의 살결은 플라톤이 사유했던 절대로 변치 않는 자기동일자인 이데아(Idea)의 세계가 변화무쌍하게 생성, 소멸하는 현상계와 만나는 매개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중첩적 구조를 통한 내러티브(Narrative) 이미지의 회화적 변주곡들이 2001년 아트 프라넷의 초대로 열렸던 <Time-Conversation>이라는 제목의 개인전을 기점으로 잠시 휴지기(休止期)를 맞이한다. 사실 이때부터 2004년까지의 공백기간은 그가 강원도 속초에 기반을 두고 새로운 작업을 펼치기 위한 준비기간이기도 했다.

During this period, he released works occasionally in the group exhibit agonizing the new direction for creating the work. He then confronted a new subject that stimulated his impulse on the painting expression of ceramics and bowls while having a cup of tea. He saw plates that were used to make Korean traditional ceramics, white porcelain, bowl, or kettle as a subject to be expressed in philosophical manner beyond mere objects.

이 기간 동안 단체전이나 그룹전에 간간히 작품을 출품하면서 새로운 작업방향을 고민하고 있던 그의 시선에 차를 마시며 본 도자기 그릇들이 그의 회화적 표현충동을 자극하는 새로운 대상으로 다가서게 된다. 백자나 사발, 주전자와 같은 한국 전통도자기들을 빚어내는 한 도방(陶房)의 그릇들이 단순한 사물이 아니라 철학적 관조성을 지닌 표현의 대상으로 포착되었던 것이다.

 

▲ 관계-얼굴의 크기, 풀잎의 길이 91×75㎝

 

Hereupon, "empty but filled" world recalled from the tea ceremony started being settled as a thematic consciousness in the second generation of the series <Relationship>. Special feature of an empty plate waiting to be filled by something, infatuation of beauty of the contemplation, and the moment of the paper in the opened old book flapping. This is the proof of non-existent past times of a certain object and also the esthetics of the re-organization as a current existence. I assume this as an allegory-oriented description beyond the realized plate.

이로써 다도(茶道)에서 흔히 회자되는 이른바“텅 빈 충만”의 세계가 <관계> 연작들을 지나 제2기라 말할 수 있는 회화적 주제의식으로 터를 잡기 시작했던 것이다. 서양화가 이동수의 화면에는 무엇인가 담기기를 기다리는 빈 그릇의 적조성(積阻性), 고요함 속에 파고드는 관조의식의 미혹성(迷惑性), 펼쳐진 고서의 낱장이 펄럭이는 찰나성(刹那性)이 전면화되었다. 그것은 어떤 사물이 지닌 과거시제의 부재증명이자 현존적 존재로 환원되는 재구성의 미학이었다. 나는 이것을 재현된 그릇 너머에 잠재하는 알레고리적 서사(敍事)라고 본다. △글=장동광(미술평론, 독립큐레이터)

 

키워드

#권동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