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간의 벽-대화, 47×35㎝ oil on canvas, 2001

 

People confront significant and signifié issues by Saussure among these technical indicators. Comparing the ceramics by Lee Dong Su as an indicator of traditional plates for tasting a cup of tea, signifié in the relevant indicator is relevant to the pure and tranquil emotion representing the mentality of tea ceremony. In this context, ceramics drawings by him are requesting the horizon of interpretation by not willing to realize items in <(Ceci n'est pas une pipe)>(1928-29) by (René François Ghislain Magritte, 1898-1967).

이러한 기술적 지표들 속에서 우리는 소쉬르의 기표(記表, signifiant)와 기의(記意, signifié)의 문제를 만나게 된다. 이동수 작가의 도자기들이 차를 마시는 전통적 그릇을 지칭하는 기표라면, 그 기표 안에 내재한 기의는 맑고 고요한 정서와 같은 다도의 정신성을 담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그가 그리고 있는 도자기 그림들은 르네 마그리트(René François Ghislain Magritte, 1898-1967)의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Ceci n'est pas une pipe)>(1928-29)와 같이 대상 자체를 재현하려는 의도가 아니라는 의미에서 기표성을 넘어선 해석의 지평을 요청하고 있는 것이다.

Roland Barthes (1915-1980) said, "Signifié is the concept, and significant is the auditive image (in the dimension of emo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and image is the signal (for example, words) or specific existence. ". Thematic consciousness pursued by Lee, Dong Su through the realistic expression in the recent works is not based on the formulistic exploration that takes advantage of the trend in the field of fine art or formative beauty. He might as well be in a trend of illusory realizing fine art based on planarity and returning trend as a painting. However, what shall not be overlooked here is how figures of ceramics or bowls by Lee, Dong Su are related to various analytic elements by entire sides of drawings. I assume such elements to be a proof of existence (absence) in the image beyond the real characteristics or a contribution to the realizing feature.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to observe how it builds a solid boundary in the illusional area as a paint art.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 1915-1980)는 “기의는 곧 개념(concept)이며 기표는 곧 (정신적 차원의) 청각적 이미지이며, 개념과 이미지의 관계는 곧 기호(예를 들어 단어) 혹은 구체적 실체이다“라고 언급한 바 있다. 이동수 작가가 도자기의 재현적 표현을 통한 근작들에서 추구하고 있는 주제의식은 사물의 조형적 아름다움이나 미술사적 조류에 편승한 형식주의적 탐구에 있지 않다. 그는 어쩌면 회화의 평면성에 입각한 환영적 재현미술, 회화로의 귀환적 조류에 적극 합류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여기서 우리가 간과해서는 안 될 점이 있다. 그것은 이동수의 도자기, 사발의 형태들이 전면화된 그림이 지닌 여러 가지 분석적 성분들에서 기인한다. 필자는 그러한 성분들이 회화의 본령에서 벗어나 사진에서의 존재(부재)증명 혹은 재현적 속성에 기여하고 있는 듯이 보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회화라는 매체의 환영적 영토 속에서 견고한 성채를 쌓고 있음을 동시에 주목하게 된다.

Recent works by Lee, Dong Su are developing the precise realization of them by focusing on the traditional and old form of bowl. However, many of supplements are added in the image creating the new process of dealing with meaning. To be specific, precise paint-over on the horizontal lines, a method of carving the mouth area of bowl, waves of vapor, and still image of bookcase that is about to fall backward with wind are such elements. However, it is too obvious that these supplements do not serve as a dominant role of confirming the originality and differentiation of painting by Lee, Dong Su. Then, what does he suggest through the existence of an old book and ceramics? In this original inquiry, it is intended to write a critical essay about the exploration of painting drawn by him from 1999 to the present.

서양화가 이동수의 근작들이 전통적이고도 복고적 형태의 사발형태에 주목하여 그것의 정밀하고도 미묘한 재현을 전개하고 있지만, 그 화면 속에는 여러 가지 부수적인 장치들이 개입하면서 새로운 의미작용을 생성하고 있다고 본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미세한 수평적 선들의 덧칠, 사발의 구연부를 부조적으로 처리하는 방식, 증발하는 수증기의 파동들, 그리고 고서의 책장이 바람에 넘어갈 듯한 순간의 정지 화면적 연출 등이 그런 요소들이다. 그러나 이런 부수적인 장치들이 이동수 회화의 독자성과 차별성을 확증시키는 지배적인 축이 아님은 너무나 자명하다. 그렇다면 그는 이 재현적 도자기 혹은 해묵은 고서의 존재성을 통해 무엇을 말하고 무엇을 제시하고 있는 것일까? 이 근원적 질문들 속에서 필자는 그의 1999년부터 현재까지의 작품이 담보해 온 회화적 탐색들에 관한 비평적 논술을 피력하고자 한다.

△글=Jang, Dong Gwang(Fine art critique, independent curator)/장동광(미술평론, 독립큐레이터)

 

키워드

#권동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