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NH투자증권

경제활동을 가장 활발하게 수행하는 생산가능인구가 올해부터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청년 인력부족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NH투자증권 서동필 수석연구원은 '청년, 10년내에 '천덕꾸러기'에서 '백조' 될 것'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생산가능인구 감소가 예고돼 있는 만큼 노동력 확충을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생산가능인구는 15세부터 64세까지 인구를 지칭한다.

국내 생산가능인구는 지난해 3700만명으로 정점을 찍고 올해부터는 감소세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생산가능인구를 보충해줘야 할 청년(15~29세)인구가 지난 1990년부터 감소세를 이어오고 있기 때문. 청년인구 감소기간을 고려해보면 생산가능인구 감소는 향후 20년간 지속될 공산이 크다.

결국 저출산이 문제다.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1.17명(통계청 예상치)으로 전세계 최저 수준이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동안 낳을 수 있는 평균 자녀 수를 의미한다. 연도별 출생아 수는 지난 1972년 100만명 선이 붕괴된 이후 지난해에는 40만명까지 줄어들었다. 아이가 태어나지 않으니 청년인구가 줄고, 청년인구 감소는 생산인구가 감소로 이어진다. 생산인구가 줄어드니 총인구도 줄어드는 연쇄반응이 일어나고 있는 것.

생산가능인구 감소 이후 실업률 하락까지는 경기상황에 따라 5~7년 정도가 소요된다. 다만 노동력 부족 문제가 불거지기 전 대응방안을 강구해야 된다는 지적이다.

서동필 수석연구원은 "청년실업률이 높아 아직은 노동력 부족에 대한 심각성이 크지 않지만, 심각성을 인식하는 순간 이미 때는 늦는다"며 "(노동력은) 짧은 시간 내에 늘였다 줄였다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서 연구원은 우선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 임금 차를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청년인구 942만명 중 경제활동에 참가하고 있는 인구는 442만명이었다. 더 좋은 직장을 얻기 위해 청년들이 취업준비생으로 머물고 있다는 분석이다. 대기업으로만 입사 지원자가 몰려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는 것. 기업규모에 따른 처우 차이가 평준화되면 중소기업에 대한 구직자들의 거부감도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서 수석연구원은 "이같은 (노동시장) 구조를 해결하지 못하면 대기업 인력 쏠림 현상은 (시간이 지날수록) 가중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 출처=NH투자증권

서 연구원은 또 남성인력보다 경제활동참가율이 낮은 여성인력을 노동시장으로 유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올해 2월 기준 우리나라의 15세 이상 남성인구는 2140만명이다. 이 가운데 1500만명(73.2%) 이상이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반면 15세 이상 여성인구는 2220만명이지만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인원은 남성보다 적은 1140만명(51.6%)이다. 여성 비경제활동인구 현황을 살펴보면 가사인원이 590만명, 육아에 전념하고 있는 인원이 130만영이다. 여성들의 가사와 육아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면 수백만명의 인력을 노동시장으로 끌어올 수 있다는 것..

장년인력과 해외인력도 대안이 될 수 있다.

서 수석연구원은 "중장년 이상의 인력이 모든 업종에서 의미있는 활동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도소매 서비스, 운송서비스 등 전통적인 서비스 업종에서는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고령 인력을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통계청 자료를 보면) 300만원 이상 임금을 받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는 9% 정도에 불과하다"며 "보다 양질의 고급이력을 유인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