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를 대표하는 대기업인 삼성전자와 LG전자가 7일 나란히 올해 1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하며 어닝 서프라이즈를 자축했다. 삼성전자의 경우 전통적 비수기에 갤럭시노트7 발화에 의한 단종 여파가 이어지는 상황이지만 반도체 및 부품 중심의 경쟁력을 중심으로 놀라운 비전을 보였으며, LG전자도 1분기 영업이익이 1조원에 근접할 정도로 기분좋은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갤럭시 없어도 강한 삼성전자, 있으면 얼마나 대단할까?
삼성전자는 7일 올해 1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하며 영업이익 9조9000억원, 매출 50조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의 경우 갤럭시S3의 대성공으로 갤럭시 신화를 시작했던 2013년 3분기 영업이익 10조1600억에 이어 역대 두 번째 성적이다.

더 고무적인 지점은,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0.44% 늘어나는데 그쳤으나 영업이익이 무려 48.2%나 증가한 지점이다. 빠르고 기민하게 체질개선에 성공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올해 1분기 실적의 동력은 반도체 및 부품에서 나왔다는 것이 정설이다. 업계에서는 DS부문의 경우 5조8000억원 수준의 영업이익을 거뒀을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장기호황이 큰 역할을 수행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삼성전자는 D램과 낸드플래시 시장에서 글로벌 1위를 놓치지 않고 있으며, 시장은 사실상 장기호황에 진입한 상태다. 초연결 사물인터넷 시대가 열리며 메모리 반도체에 대한 수요가 올라가자 가격도 덩달아 올라가고 있기 때문이다. D램의 경우 고성능 스마트폰이 등장하며 삼성전자를 찾는 기업들이 많아지고 있고, 낸드플래시는 조만간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D램을 능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전도유망한 분야다.

스마트폰 시장이 주도하는 메모리 반도체 업계는 1분기를 전통적으로 비수기로 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삼성전자가 DS부문을 통해 5조8000억원 수준의 영업이익을 거둔 것으로 추정된다는 점은, 반도체 가격 상승이라는 호재가 삼성전자의 기술력과 절묘하게 맞아 떨어진 결과로 해석된다.

디스플레이도 1조원대에 가까운 영업이익을 거뒀을 것으로 추정된다. 중소형 OLED를 중심으로 판로를 넓히는 전략이 성공했다는 뜻이다. 최근 애플이 자사의 아이폰8 최상위 라인업에 OLED 탑재를 선언하며 삼성디스플레이와 거래를 시작한 점도 호재로 작동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글로벌 중소형 OLED 시장에서 97%에 달하는 압도적인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 갤럭시S8. 사진=이코노믹리뷰 노연주 기자

다만 휴대폰의 IM부문은 2조원 초반대의 저조한 영업이익이 예상된다. 갤럭시노트7 발화에 의한 단종으로 지난해 3분기 영업이익 1000억원이라는 충격적인 성적표를 받아든 후 지난해 4분기 2조5000억원 영업이익으로 반짝상승에 성공했으나 올해 1분기까지 여진이 계속되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중저가 라인업으로 시장 점유율을 적극적으로 방어했으나 최근 삼성전자는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에서 애플에 오차범위 내에서 뒤진 2위로 내려오는 등 시련의 계절을 맞이하고 있다. 갤럭시S8 출시가 4월로 미뤄진 지점과 이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개발비가 투입된 것도 1분기 실망스러운 IM부문 실적을 예상하게 만든다.

하지만 갤럭시S8이 공개와 동시에 고무적인 바람을 타고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올해 2분기에는 나름의 상승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CE부문의 경우 비수기의 영향을 받아 1조원대에 미치지 못하는 영업이익을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삼성전자는 올해 1분기에 영업이익 10조원의 고지를 밟지 못했으나, 2분기에는 약 13조원의 영업이익이 조심스럽게 예상되고 있다.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경쟁력 및 부품 인프라가 위력을 발휘하는 상태에서 갤럭시S8의 성적이 반영되면 불가능한 목표가 아니라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다만 일각에서 메모리 반도체 내부의 D램이 사실상 업황 정점을 지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등, 반도체 시장 전반의 급진적 변화도 예상되기 때문에 이에 대비하는 삼성전자의 스탠스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 삼성전자 QLED TV. 출처=삼성전자

가전 및 TV의 LG전자..."LG G6만 믿는다'
LG전자도 7일 1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했다. 영업이익은 9215억원이고 매출은 14조6605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동기 대비 영업이익이 82.4%나 올라가 눈길을 끈다. 시장의 전망치를 상회하는 어닝 서프라이즈다.

가전과 TV를 중심으로 탄탄한 인프라를 확보했기에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H&A 사업본부와 HE 사업본부가 고른 성적을 내며 상당수준의 영억이익을 달성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TV의 경우 대형 OLED TV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해 프리미엄 시장을 확실하게 틀어쥐는 한편, 가전제품의 경우 비수기임에도 불구하고 성장세를 유지한 것으로 해석된다.

최근 유수의 해외 ICT 박람회를 통해 B2B 영역을 집중적으로 파고드는 대목도 호실적의 원인 중 하나로 분석된다.

▲ CES 2017에서 호평받은 LG전자 OLED TV. 출처=LG전자

현재 LG전자는 지난해 3개 사업본부의 사장이 연합하는 소위 삼두체제에서, '세탁기 박사' 조성진 부회장을 중심으로 조직을 재편해 초연결 인프라 시장까지 적극적으로 노리고 있다.

VC 사업본부의 경우 적자가 예상되지만 볼륨 자체가 크지 않기 때문에 심각한 수준의 타격을 입지는 않았을 것으로 전망된다. 사실 VC 사업본부는 현재보다 미래가 더 기대되는 곳이다. GM의 순수 전기차인 볼트의 판매량이 크게 치솟으며 이에 전장 부품을 제공하는 VC 사업본부의 실적은 꾸준히 올라갈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휴대폰의 MC 사업본부다. LG G5의 실패가 치명적인 상처를 입힌 가운데 올해 1분기까지 그 여파가 이어졌을 것으로 전망된다. 비록 지난해 상반기 모델이지만 모듈식 혁명이 시장의 철저한 외면을 받으며 장기적인 리스크로 여겨지는 대목이 뼈 아프다.

결국 올해 1분기 MC 사업본부 실적의 관건은 얼마나 적자폭을 줄이느냐에 있다. 이를 위해 MC 사업본부는 지난해 고강도 조직개편을 통해 체질개선에 나서기도 했다.

▲ LG G6 체험하는 사람들. 출처=LG전자

결론적으로 LG전자는 사상 두 번째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승승장구하고 있다. TV와 가전이 7분기 연속 적자의 늪에서 허우적대고 있는 MC 사업본부의 적자를 일정정도 메웠기에 가능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 지점에서 MC 사업본부가 LG G6의 성적을 바탕으로 올해 상반기 나름의 반등에 성공하고 계절적 성수기 효과로 TV 및 가전 경쟁력이 더욱 살아나면 2분기 더 좋은 성적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