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Genesis, 122×96㎝ Korea Lacquer Painting with Nature Materials on Hemp Cloth, 2000

 

이정연 그를 이야기하기 위해 나는 뉴욕으로 가야한다. 그러니까. 1986년경인가. 나는 몇몇 지인(知人)들 그때 그녀는 과 뉴욕에 간 적이 있었다. 그때 그녀는 오랜 유학생활에 매우 지쳐있는 듯 했지만 어딘지 모르게 예사롭지 않은 눈빛과 예술에 대한 뜨거운 열정을 삭이고 있었다. 그녀와 많은 이야기를 나누지는 않았지만 그녀는 프랫대학에서 서양화와 판화를 전공하고 있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In order to refer about artist Rhee Jeong-Yoen, I think I should visit New York city. That was probably 1986 I visited New York with a number of acquaintances. There I met an old Korean student in the city who was a very intimate friend of mine. She seemed to be quite exhausted in her long studying life. However, I could not but notice the glitter of her eyes and a sign of her extraordinary enthusiasm toward arts. We did not shared much talks with her, but I remember she was specializing print of Western art at Pratt Institute in the city.

그리고 나는 파리에 오랫동안 체류했던 관계로 그녀를 만날 수가 없었다. 내가 서울로 돌아와 어느 작가의 전시장 오프닝에서 두 번째 다시 만난 그녀가 바로 이정 연이었다. 내가 이정연 작가의 작품을 처음으로 아주 일목요연하게 본 것은 한국미술관에 있었던 그의 첫 개인전에서였다. 그때 그의 작품은 온통 뜨거움과 알 수 없는 열기로 가득한 그런 작품들이었다. 그가 다루고 있는 내용들은 십자가며 물고기며 그가 다분히 종교적인 것을 상징하는 것들이었다.

And, as I had led my subsequent life in Paris for long, I could not have a chance to meet her again. Returning to Seoul, I met her again at an open event of an artist’s exhibition, and I remember vividly that she was Rhee Jeong-Yoen. It was at her first individual exhibition at Hankook Gallery when I could attentively view her artworks. The works displayed at her individual art exhibition then was full of passion and defined the cult of her artistic achievement. The subject matter she had treated in her paintings were the Cross and fish, aggressively symbolizing her religious quality.

 

▲ 72.5×60.5㎝

 

그가 외국에서 자신의 존재와 인간의 나약함을 깨달아가면서 그가 기댈 수 있었던 것이 종교 외에 무엇이었는지, 얼마나 힘겨운 유학시절을 보내고 있었는지 쉽게 상상할 수 있는 대목 들이다. 그는 동양화를 전공했다. 하지만 그는 자신이 전공했던 동양화라는 예술세계를 온전하게 잊고 싶어 했다. 어떠한 이유에서든 그러나 그의 이런 선택은 그를 더욱 큰 예술의 지평 위로 올려다놓았다.

The implications of religious factors in her artistic works suggest us her desperate dependence on the religion by finding her feeble life and existence in the overseas, during her study abroad. She specialized in Oriental painting. However, she wanted to get herself away from the Oriental painting thoroughly and intentionally, positioning herself apart from the Oriental art. Whatever the reason may be, her drastic choice of the realm of art has magnificently brought her over the higher level of the horizontal of arts.

1974년 그의 초기 동양화풍의 작품들을 보면 비교적 자신의 목소리가 살아있는 작품들은 미국으로 유학을 하면서 상당히 변모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십자가’, ‘주님과의 만남속에’ 등은 외형적으로도 이미 내건 작품들의 제목을 보더라도 그가 초기에 지향하고자 했던 예술세계를 쉽게 가늠할 수 있다.

Taking a view upon her early oriental art style in 1974, It has revealed a vivid fact that her own artistic features quite considerably and transformed into quite new ever since her study in the United States. Her mastery works, ‘The Cross’ and ‘A Meeting In The Lord’ and so forth, and regarding the titles of her painting externally, we may well imagine her original objective directing toward her own art world.

그의 그림은 철저하게 신에 대한 이야기거나 고백 혹은 독백처럼 비쳐졌다. 그래서 그의 그림 속에는 슬픔도 있고 눈물도, 하나님에 대한 기원도, 원망도 들어 잇다. 그의 어떤 그림을 선택해도 그의 간절한 목소리는 묻어난다. 그만큼 그의 회화는 하나님에 대한 기도처럼 진실했다.

Most of her paintings have clearly manifested a topic about God or her own confession or monologue. Therefore, in her paintings, the unusual and desperate prayers with tears, worship of God as well as a kind of own blame. One can simply choose her artworks but on cannot but find her desperate voice smudged in her paintings: so much her paintings reflects the whole picture of religious world toward God.

 

▲ 73×91㎝

 

여전히 이정연 작가의 예술에 있어서의 진실성에 관한 논의는 모리스 드니가 희구하고 유념했던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예술작품은 예술가가 진정 생각하고 느꼈던 것을 표현할 때 진실하다는 것” 말이다. 그래서인지 ‘기도’나 ‘영과 육’ 등에서 보이는 것처럼 오히려 회화적인 구성요소나 조형성 등에 주목하기보다는 감정적인 절대자에 대한 솔직한 인간의 감정을 드러내는데 그의 회화는 훨씬 가까이 접근해 있다.

It is true that the argument bout Rhee’s soberness in her arts are not apart of different from the attention and pursuance of Maurice Denis, “An art piece would be truthful as welles genuine only when it is expressed and represented along the imagination and feeling of an artist.” As shown in her artworks, ‘The Prayer’ or ‘The Soul and Flesh’, they appeal us her emotional aspect and open sentiment to the Absolute Being rather than their simple composition of canvas or formative features. Far more approached to her inner visions than the objects really reflected.

그래서 이정연(RHEE JEONG YOEN)작가의 회화는 감정적으로 절제된 그 어떤 것이기보다는 감저의 분출이 지배적으로 화면에 자리 잡고 있었다. 아무렇게나 칠해진 듯한 격동적인 붓질, 주체 할 수 없는 감정이 버무려진 색채들이 한군데 모여 있었다.

In this connection, we find her paintings with full of her emotional factors overwhelmingly gushing out from the pictorial surface. The vibrant delivery of brush in a formless way and the overwhelmingly impact of her emotion have formed together a mass of pigments that produced a surprisingly lyrical evocation of her inner world.

언제보아도 그의 작품에서 우리들의 주의를 끄는 것은 물고기와 십자가가 중용한 구성요소로 떠오르고 있다는 것이다. 그것도 단순하게 그 형태만 있는 것이 아니라 그의 색채는 혼돈과 불안 정체 속에 쌓여 있는 인간의 고뇌하는 모습을 깊이 있게 담고 있는 듯했다.

Whenever we view her works, the point drawing our attention is the motifs of fish and the Cross as their subject matters consisting important elements. The shapes of these objects are not merely seen by our eyes, but they gives us an immense agony of man with full of disorder and uneasiness deeply presented by her pictorial expression.

이렇게 초기의 그림은 회화가 하나의 예술이라는 인식보다 오히려 종교적 감정을 담아내는 도구로 간주되는 부분이 많았다. 그러나 그의 이러한 세계는 ‘믿음’과 ‘자연’이란 주제로 낭가면서 스스로 한결 자유로워지는 내면세계를 적극적으로 형상화하고 있었다.

Thus, her early paintings are much or less representing rather religious sentiment of her own than recognition of an art piece as a tool of communication. However her such an inner world as this has borne the spiritual part of her ‘faith’ and ‘nature’ forming a subject matter of the painting, fantasizing aggressively the unrestrained inner world by materialization of the objects.

 

▲ 41×48㎝

 

그러나 캔버스의 화면은 열정적인 터치와 거칠게 색상을 조합하면서 조형이라든가 질서 같은 것에 있어서는 분명함을 유감없이 비치고 있었다. 특히 그의 이러한 화풍은 80년대 말 90년대 초 뉴욕의 체류시대를 거침으로서 그에게 두 가지의 회화적 세계를 체험을 가져다 준 것으로 보인다. 하나는 한지나 장지 광목 등과 같은 전통적인 재료에 대한 재인식과 더불어 종교적인 세계에 대한 심화의 단계를 가졌다는 것이다.

However, the pictorial surface of the canvas is combined with a passionate touch and vibrant colors, and has thoroughly reflected unrestrainedly of such factors including formativeness and order. Especially, her art style as this was largely influenced by her experiences during her life in New York two different pictorial worlds. The one is her recogni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painting materials, such as Korean drawing aper and cotton cloth and her deepened religious inner world.

또 하나는 그러면서도 그의 작업이 시각적인 면에서는 표현주의에 화풍을 강렬하게 떠올리고 있음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당시 미국을 휩쓸고 있던 신표현주의나 뉴이미지 계열의 회화들의 인상을 그가 어떤 형태로든 받았을 것이라는 점이다.

The other one is that the strong appeal of her expressionistic art style in the visual aspect is not incidental at all. It is imaginable that she might have much or less been affected by neoexpressionism and new image realm of art style then prevailed in the United States.

그러나 그의 회화가 보다 본질적인 동양적인 정신이나 태도에서 출발표현의 세계를 확충시켰음을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그의 회화 중심에 빠지지 않고 차지하는 힘찬 붓질과 그 역동성이 빚어내는 일회적 에스프리가 이를 잘 말해준다.

However, the viewers of her painting would not overlook the fact that she has expanded and launched her own style and widened the world of expression sources from the Oriental spirit and attitude as essential factors of her art. The vibrant delivery of brush overwhelmingly impressed from most of her paintings and the single time of the dynamic esprit are the evidences of her artworks.

△글=김종근 미술평론가(Kim Jong-Keun/Art Critic)

 

키워드

#권동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