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자동차가 선택재가 아닌 필수재로 자리매김한 시대다. 국내 차량 등록대수는 2000만대를 넘겼고 해마다 180만여대의 신차가 팔려나간다. 대부분 사람들이 운전대를 잡는다.

차를 모는 것이 어렵지는 않다. 오른쪽 페달을 밟으면 앞으로 가고, 왼쪽 페달을 밟으면 멈춘다. 가고자 하는 방향으로 스티어링 휠만 돌리면 된다.

자동차는 어렵다. 2만개가 넘는 부품이 들어간다. 온갖 전문용어가 난무하고 다양한 배경지식이 요구된다. 카센터라도 한 번 찾는 날이면 ‘멘붕’에 빠지기 일쑤다. 스스로가 ‘호갱’이 된 느낌이 들 때도 있다.

기술이 발달하며 자동차의 수명이 늘었다. 일정 수준 내 차를 스스로 관리할 줄 알아야 하는 시대가 온 것이다. 우선 내 차에 대해 잘 아는 것이 먼저다. 차에 대해 이해하고 나면, 간단한 정비 요령 등도 터득할 수 있다.

<이코노믹리뷰>는 ‘내 車 사용설명서’라는 기사를 연재한다. 자동차 관련 상식부터 간단한 차량 정비 요령까지 다양한 내용을 다룰 예정이다. 독자들이 차를 200%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 목표다.

 

자동차의 종류가 다양한 만큼 운전자의 특성도 가지각색이다. 운전 습관뿐 아니라 관련 상식 수준도 모두 다를 수밖에 없다. 대부분 소비자들이 한 번 ‘상식’이라고 습득한 내용을 운전하는 내내 사실이라고 믿는다. 잘못된 정보를 맹신할 경우에는 위험한 상황이 연출될 수도 있는 셈이다.

▲ 자료사진 / 출처 = BMW코리아

1. 새 차 길들이기, 무조건 고속주행으로?

새 차를 사면 ‘길들이기’를 해야 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 방법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공존한다. 일단 고속도로로 향해 고속주행을 계속 해야 한다거나, 낮은 rpm을 유지하며 정속 주행을 꾸준히 해야 한다는 것 등이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방법은 새 차 길들이기에 적합하지 않다고 입을 모은다. 오히려 차가 잘 자리 잡게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rpm을 활용하고 1단부터 가장 높은 단수까지 기어를 폭넓게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대신 급가속·급제동은 피하는 것이 좋다.

▲ 자료사진 / 출처 = 한국토요타

2. 수명 향상을 위해 전조등 사용을 아끼자?

간혹 습관처럼 전조등을 껐다 켰다 하는 운전자가 있다. 신호 대기 중 잠깐이라도 불을 꺼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 마음에서 비롯된 행동이다. 바람직한 자세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1분가량 짧은 시간 전조등을 꺼서 나타나는 전력 보존 효과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전조등의 수명만 단축시키는 상황이 연출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충고다.

▲ 자료사진 / 출처 = 한국타이어

3. 타이어 교체, 두 개만 해야 한다면 앞바퀴를?

꼭 전륜구동 자동차가 아니더라도 승용차의 경우 앞바퀴 타이어의 마모 속도가 뒷바퀴보다 빠르다. 이에 타이어를 두 개만 교체할 경우 앞바퀴를 바꾸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자칫 위험한 상황을 연출할 수도 있다.

타이어가 최적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시기는 ‘새 것’일 때가 아니라 6개월가량 길들여졌을 때다. 만일 오래된 타이어가 뒷바퀴에 있고, 앞바퀴에 새 타이어가 장착된다면 눈길 등에서 위쪽이 미끄러지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꼭 두 개만 교체해야 한다면, 뒷바퀴에 있던 타이어를 앞쪽으로 옮기고 새 타이어를 뒤쪽에 장착하는 편이 좋다.

▲ 자료사진 / 출처 = 얼마일카

4. 자동차를 오래 세워둬야 수명이 늘어난다?

운동을 많이 안 하면 사람도 몸이 망가지듯 자동차 역시 주차를 너무 장기간 할 경우 잔고장이 자주 발생한다. 겨울철의 경우 배터리 방전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어쩔 수 없이 주차를 오래 해야 할 경우에는 가끔 시동을 걸어 예열을 해주는 것 정도라도 해주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