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생산기지로서의 매력이 약화되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임금상승 등으로 인한 비용의 증가다. 이는 한국의 대중수출이 늘어나기 어려움을 말한다. 심지어 중국도 자국을 생산기지로 생각하지 않고 해외로 진출한다.

따라서 한국은 대중수출에 연연하기보다 전략적이며 적극적으로 생산기지를 찾아 나설 필요가 있다. 사드보복에 쫓기듯 움직이기보다는 사드보복이 한국의 변화를 촉구하는 계기로 인식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 중국 일인당 소득 [출처:한국금융연구원, IMF]

한국금융연구원에 따르면 중국이 생산기지로서의 매력을 잃어가는 가장 큰 원인은 비용의 증가다. 중국은 1978년 이후 장기 고도성장을 지속했고, 그 결과 일인당 소득도 빠르게 증가했다. 중국의 일인당 소득은 2005년 1753달러였으나 2015년에는 7990달러로 4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수출산업 생산기지가 집중된 동부 연해지역의 소득수준은 대부분의 지역에서 1만달러를 넘었다.

중국의 제조업 평균임금은 2005년 이후 2009년 9.9%를 기록한 것을 제외하고 매년 10% 이상 올랐다. 그 결과, 2005년 1만5934위안에서 2015년에는 5만1369위안으로 3배이상 늘었다.

특히 중국 정부가 2010년부터 적극적으로 최저임금 인상에 나서는 등 임금상승을 통한 소득격차 해소와 내수기반 확충에 나서면서 임금상승이 가팔라진 것으로 추정된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전세계 경제가 저성장에 빠져 있는 동안에도 이러한 상황은 지속됐다.

▲ 중국 평균 임금 변화 [출처:한국금융연구원, IMF]

이렇다보니 중국은 생산기지로서의 매력을 잃게 된다. 실제로 중국보다 임금이 낮고 임금상승률이 낮은 지역으로 생산기지가 이전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중국의 역할도 있었다. 중국은 저임금 저부가가치 가공산업의 해외이전이 불가피하다는 판단하에 2011년부터 해외가공기지 확대를 실행하고 있으며 주요 지역으로는 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 지역이다.

대표적으로 베트남은 중국을 대체하는 새로운 생산기지로 부상중이다. 이에 중간재 수출국인 한국의 베트남에 수출도 급증 중이다. 심지어 대중수출이 감소하는 동안에도 한국의 베트남에 대한 수출액은 2011년 135억달러에서 2015년 277억달러로 확대됐다.

또 다른 기회와 또 다른 경쟁

최근 사드보복조치에 한국경제의 미래가 암울하다는 주장이 주를 이룬다. 물론 이는 한국경제에 피해가 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중국의 수입·수출구조 변화와 임금 상승 등을 고려하면 돌파구가 보인다.

지만수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원은 “사드보복조치가 한국경제에 부정적 요인이라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보다 적극적이고 전략적인 생산기지 구축을 통해 현 상황을 극복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그는 이어 “적극적이고 전략적인 생산기지 구축이 필요한 이유는 중국도 해외 생산기지 구축을 통해 고비용 등 중국이 처한 어려움을 해소할 것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중국은 해외기지 확대를 지난 2011년부터 실행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의 확장속도가 빠른 것은 아니다. 그만큼 국내 기업들이 해외기업들이 생산기지를 확대를 선행한다면 중국보다 빠르게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는 셈이다.

실제로 일본은 지난 2012년 ‘센카쿠 분쟁’으로 중국의 보복조치를 당했다. 하지만 일본은 동남아시아 지역에 생산기지 인프라를 이미 견고히 다져왔고 중국발 ‘위기감’은 온데간데없이 사라졌다. 즉, 새로운 생산기지에서 나타나는 중간재 수요를 선제적으로 개척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지만수 연구원은 “일본의 새로운 생산기지 구축은 물론 중국도 더 싼 임금을 찾아 나설 것”이라며 “이는 경제 경쟁구도의 변화를 암시한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사드에 쫓겨 생산기지를 구축하는 것이 아닌 변화하는 경쟁구도 속에서 보다 ‘좋은’ 생산기지를 발굴하는 전략적인 계획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사드보복조치를 변화의 ‘계기’로 삼고 움직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지 연구원은 생산기지 이전의 움직임은 이제 시작이고 향후 더욱 격해진다는 점을 강조했다. 사드보복조치는 한국경제에 위협이지만 이러한 움직임은 한국에 또 다른 기회가 있음을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분명 또 다른 ‘경쟁’이 기다리고 있음을 뜻한다. 중요한 것은 다음 ‘경쟁’에서 한국은 반드시 승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주사위는 이미 던져졌는지 모른다. 그렇기 때문에 더욱 필사적으로 ‘전략적 생산기지 구축’에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박상기 글로벌협상컨설팅(BNE) 대표는 "우리나라가 중국을 벗어나 전략적 산업 거점을 다변화 해야 하는 것은 정말 중요하다"면서도 "동남아를 선점하고 있는 일본과 달리 우리나라는 인프라 등이 미약한 상황이기 때문에 전략이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일본은 90년대 전쟁 자본 확보를 위해 전략적으로 동남아를 거점으로 삼았다"며 "동남아에서 일본의 역사는 정말 길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일본이 동남아에 많은 인프라를 구축해뒀고 동남아 국가들과의 비즈니스에서 유리한 위치에 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과거 태평양전쟁 때문에 정서적으로 일본을 싫어하는 분위기도 함께 존재한다"며 "이런 점을 협상에서 잘 활용한다면 우리에게도 기회는 있다"고 말했다. 

또 "동남아 시장 특징은 관계중심주의 성향이 강하다는 점"이라며 "인도주의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면 비즈니스 관계로도 이어지기 수월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어 "인프라 구축이 돼 있지 않은 미얀마와 같은 나라와 비즈니스를 맺는 방법도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동남아에 이미 경쟁 국가들이 많이 들어가 있고, 경공업 진출이 위주였던 과거와 달리 동남아 문턱이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이제는 부가가치 생산이 가능한 산업이나 이산화 탄소 배출이 적은 산업 등을 받아들이려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동남아에 진출하려는 우리나라 기업에 대한 규제를 낮추고, 외국 기업에 대한 견제 지원 등을 이끌어내려면 '외교 전략'이 정말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대표는 "중국이 자국 산업화를 하고 있고 이제 그 영향을 우리에게 행사하려 하는데, 우리가 중국 다음 거점으로 언급하는 베트남, 인도도 어느정도 성장하고나면 중국과 같은 태도를 취할 수 있다"며 "어느 한 나라에 치우친 것이 아니라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를 선점할 수 있도록 밸런스를 잘 맞춘 외교 전략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