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정의 일본 소프트뱅크 그룹 회장은 지난 주,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하기 전에 자신이 약속했던 미국 내 일자리를 이미 8000개나 만들었다고 말했다고 아사히 신문이 보도했다.

3000개는 소프트뱅크가 투자한 미국 위성 통신 스타트업 원웹(Oneweb)이고, 나머지 5000개는 소프트뱅크 소유의 미국 무선통신 회사인 스프린트(Sprint)사의 콜 센터다.

손 회장은 2016년 4월-12월 실적 발표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규제 완화로 미국에서 사업을 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

손 회장은 새롭게 만든 일자리 수가, 자신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했던 “일자리 5만개 창출” 약속을 지키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내가 정직하고 솔직하게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사람”이라며 트럼프대통령을 치켜 세웠다.

그러나 손 회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반이민 행정 명령과 이슬람 주요 7개국 국민의 미국 입국 거부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답변하기를 거부했다.

“정치에 대해서는 노코멘트입니다.”
 
[유럽]
■ 스위스 국민투표, 법인세 인하 부결 - 정부 "기업 이탈 우려"

- 직접 민주주의를 실천해온 스위스의 국민들이 법인세를 낮춰 기업하기 좋은 나라를 만들겠다며 정부가 제출한 세제 개혁안에 퇴짜.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FT) 등은 12일(현지시간), 스위스 정부가 연방 법인세 인하를 골자로 한 세제개혁안을 국민투표에 부친 결과, 찬성 41%, 반대59.1%로 부결됐다고 보도.

- 스위스는 당초 이번 법인세 인하안을 오는 2019년부터 시행한다는 계획이었지만, 막판 고비를 넘기지 못한 것. 이번에 부결된 법인세 인하안은 연방 세와 별도로 납부해야 하는 주(州)세(칸톤세)를 낮추고 지적재산권으로 늘어난 수익에 대해 낮은 세율을 적용하는 특허 박스제 도입 등을 골자로 하고 있어.

- 스위스 연방 법인세율은 21.2%. 주요 국가들의 법인세율(한국 22%, 영국 20%, 캐나다 26.8%, 일본 30%, 호주 30%, 독일 30.2%, 프랑스 34.4%, 미국 38.9% 등)과 비교해도 높은 편은 아냐. 

- 스위스 정부가 경쟁국들에 비해 낮은 법인세 수준에도 세제개혁을 추진해온 것은 임금이 상대적으로 높은데다 통화(프랑화)가치가 높은 사정을 감안한 것. 경쟁국에 비해 높은 임금·통화 관련 비용을 감안할 때 법인세를 낮추는 쪽으로 세금제도를 대폭 손질해야 다국적 기업의 이탈을 막고, 새로운 기업을 유치할 수 있다는 뜻.

- 스위스 기계전기전자협회(Swissmem)는 성명을 내고 “이번 국민투표 부결은 기업들의 투자 환경에 부정적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면서 “ 스위스의 산업 환경이 악화되고, 일자리 감소를 부를 수 있다”고 경고.

[아시아]
■ 베트남·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인도, 트럼프 무역전쟁의 '다음 희생양'

- 미국이 지금은 멕시코나 일본, 독일, 중국 등 주요국들을 맞상대하는데 주력하고 있지만, 베트남,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인도 등 아시아 4개 나라가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보호무역 정책의 다음 희생양이 될 수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12일(현지시간) 보도.

- 베트남의 대미 수출은 지난 2010년 이후 두 배 이상 증가. 중국의 인건비가 치솟으면서 베트남의 저임에 주목한 기업들이 공장을 이곳으로 옮겨갔기 때문. 무역흑자가 베트남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5%에 달해.

- 지난해 베트남의 대미 무역수지 흑자는 320억 달러(약 36조 8224억 원)에 달해. 멕시코(632억 달러)나 아일랜드(359억 달러)에 비해서는 적지만, 이탈리아(285억 달러)나 한국(277억 달러)보다 더 많은 수준.

- 또 다른 잠재적 피해국으로 꼽히는 말레이시아와 인도의 대미 무역수지 흑자는 각각 248억 달러와 243억 달러. 인도는 정보통신 서비스, 섬유, 광물 수출 증대에 힘입어 미국과 막대한 무역흑자를 보고 있지만, 나렌드라 모디 총리와 트럼프 대통령이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중국]
■ 中, 개인 해외계좌 정보 감시 강화 - 자본유출 단속

- 중국 베이징 칭녠바오는 12일, 국가세무총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2014년 제정, 발표한 다자간 금융정보 자동교환 협정인 '자동정보 교환협정(CRS)'을 올해 1월1일부터 시행했다고 전해.

- 이는 세금포탈 등을 목적으로 한 자금유출을 막기 위한 조치로, CSR 시행으로 중국 세무 당국은 CSR에 참여하는 101개 국가, 지역과 중국 국민의 금융계좌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된다고.

- 총국은 작년 10월 "올해 초부터 개인과 은행 기관의 신규 계좌를 조사해 올해 말까지 총 잔액이 600만 위안(약 10억원)이 넘는 계좌에 대한 조사를 마무리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 이에 따라 당국은 오는 2018년 9월 첫 정보교환을 시행하고, 해당 연도 말까지는 나머지 개인과 기관의 계좌 조사를 마무리 할 계획.

- 이번 조치 시행으로, 중국인은 해외에 계좌를 개설할 경우 '중국 납세 주민'(중국에 1년 넘게 거주한 개인, 외국의 법률에 의해 설립됐으나 중국 내에 있는 기업. 납세 주민 경우엔 이번 조치의 대상에서 제외됨) 여부 관련 서류를 추가로 작성해야 하고, 외국 통화 매입시에는 관련 신청서를 작성해야 한다고.

 

▲ 출처= 중국 보건 및 가족계획국, 차이나데일리 캡처

■ 中, 30년 뒤 ‘미혼남’ 3000만 명 육박

- 중국은 30년 뒤 배우자를 찾지 못하는 '미혼남'이 3000만 명에 육박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와. 중국의 심각한 남녀 성비 불균형으로 인해 30년 후 결혼 적령기 남성이 여성 대비 3000만 명이 많아 ‘독거남’이 넘쳐날 것이라고 인민일보가 13일 보도.

- 정상적인 상황이라면 매년 100명의 여아가 출생할 경우 남아는 103~107명이 출생. 남아의 사망률이 높기 때문에 결혼 적령기가 되면 남녀 인구수가 균형이 맞게 된다고. 이에 따라 UN도 남아 출산비율 정상치를 여아 대비 103~ 107명으로 정한 것. 중국은 2000년대 들어서면서 출생인구 성비가 최고 121.2, 일부 지역은 130까지 치솟아.

- 국가통계국은 지난 2015년 말 중국의 남성 인구는 7억414만 명, 여성 인구는 6억7048만 명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3366만 명이 많았다고 밝혀. 전체 인구성비는 105.02(여성 100 기준)이며, 출생인구 성비는 113.51.

- 중국의 높은 성비 불균형은 중국사회에 여전히 '남존여비' 사상이 팽배하고 있음을 여실히 드러내는 결과라고. 또한 의술의 발달로 여아일 경우 인공유산을 시도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는 것.

- 국가위생계생위의 왕페이안(王培安) 부주임은 “성비 불균형 문제는 중국의 인구구조 발전 및 사회 안정화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고 피력.

[대양주]
■ "많아도 너무 많아" - 호주 우정본부 CEO 보수 논란 가열

- 주 정부 소유 한 공기업 최고경영자(CEO)의 보수가 전격적으로 공개되면서 호주 사회에서 논란이 가열. 정치권과 언론이 상상을 초월한 액수라며 일제히 비난하고 나선 가운데 회사 측은 회사 규모나 실적을 봐야 한다고 반박.

- 호주 우정사업본부인 '오스트레일리아 포스트'의 아흐메드 파후르 CEO의 지난해 보수는 560만 호주달러(49억원)로, 맬컴 턴불 총리의 보수(52만2천 호주달러·4억 6천만원)보다 10배 이상.

- 게다가 파후르 CEO를 포함한 경영진 6명이 지난해 3600만 호주 달러(317억원)의 이 회사 흑자 중 절반 규모인 1740만 호주 달러(153억원)를 보수로 가져갔다는 보도가 이어지자 정치권은 들끓었고, 언론들도 캐나다와 미국, 영국의 동종업체와 비교할 때 최대 10배 수준이라며 비판에 가세.

- 인력업체와의 계약을 통해 이 회사에서 단기 계약직으로 일하는 일부가 그동안 시간외 수당이나 공휴일 수당을 제대로 받지 못했다며 법적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호주 통신전기배관 노조(CEPU)는 "고위직은 엄청난 돈을 급여로 받지만, 조직의 제일 아래에 있는 사람들은 최저 임금 마저 못 받고 있다"고 비난에 나서.

- 그러나 회사 측은 파후르 CEO의 보수가 성과를 반영한 것이라는 입장. 연 매출이 60억 호주 달러(5조 3천억원) 이상일 정도로 회사가 대규모이고 복잡한 조직인 데다 DHL과 페덱스 같은 글로벌기업들과 경쟁하면서 적자에서 흑자로 반전된 데 따른 일회성 성과급이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