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경제를 네이버 뉴스란에 검색했습니다.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특검, "최순실-박근혜 대통령 이익공유"] 이런 기사들이 주르륵 올라오는 기현상을 체험했어요. 창조경제와 공유경제의 만남인가? 이렇게 된 이상 청와대로...아니, 멋진 카피 하나 만들어보는 겁니다. "권력도 공유한다! 이것이 진정한 공유경제!" 홍보를 위한 모델로 도깨비의 공유를 영입하면 어떨까.

시작부터 상태가 이상해서 순실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오늘은 공유경제의 현상을 소소하게 풀어보기 위해 가벼운 무리수를 던져봤습니다.

 

평화로운 아침. 다른날과 마찬가지로 이리저리 뉴스를 클리핑하던 때였습니다. '국내시장에서 왜 공유경제가 힘을 쓰지 못할까?'라는 기사들이 간헐적으로 보입니다. 그러면서 에어비앤비와 우버의 예시를 듭니다.

왜일까? 기사의 논지를 쭉 따라갔습니다. 먼저 노동자의 문제를 들더군요. O2O의 방법론을 타고 공유경제에 종사하는 노동자의 권리가 크게 약해지고, 이는 궁극적은 경제파괴로 연결될 수 밖에 없다는 주장. 우버의 기사들을 연상하면 편리합니다. 우버의 기사들은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 노동조합 가입도 불가능해요. 플랫폼 사업자인 우버의 입장에서 기사들은 직원이 아니거든요. 이에 따른 노동시장의 문제가 일차적 이유였습니다.

우버와 에어비앤비 등이 중개의 역할에만 집중하기 때문에 각종 법안의 사각지대에 놓이고, 이를 통해 소비자들이 피해를 입어도 마땅히 구제받을 수 없는 것도 문제입니다. 공유경제 서비스의 질적인 측면을 담보할 수 없으며, 이 과정에서 등장하는 업체들의 불법논란도 핵심이에요. 그렇다고 규제를 풀어서 활성화하자? 이렇게 되면 기존 사업자와의 분쟁이 벌어집니다. 우버와 택시기사의 충돌, 에어비앤비와 숙박업체의 공방전이 벌어지는 이유입니다.

자, 대충 그림이 그려집니다. 그러니까 공유경제는 새로운 산업이며 기존의 산업과 충돌합니다. 노동시장에 악영향을 미치며 규제와의 상관관계도 애매합니다. 그래서 공유경제는 국내에서 더 어렵다는 결론. 다른 나라도 상황은 비슷하지만 국내보다는 좋다는 점을 알아야 합니다. '아, 그렇구나'

그런데 말입니다. 지금까지 제가 쭉 나열한 공유경제의 특성을 온디맨드로 바꾸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요? 저는 그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온디맨드는 소비자의 수요에 맞춰 즉각적으로 맞춤형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제 활동을 말합니다. 맞아요. 우버와 에어비앤비는 온디맨드입니다. 고객에게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행위잖아요? 그건 온디맨드라고 불러야죠.

그렇다면 다음 질문. 그럼 공유경제는 뭐냐? 로랜스 레식 교수는 공유경제를 두고 생산된 제품을 독단적으로 영구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의해 여럿이 공유해 쓰는 협업이라고 정의했습니다.

하지만 그 본원적 실체를 알려면 더 깊숙히 들어가야 합니다. 공유경제. 사실 공유경제는 오래된 개념입니다. 역사적으로 계급의 패러다임이 공고해진 상황에서 한정된 재화를 가장 적절하게 소비하는 방식으로 여겨졌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경제활동이 아닌, 소비의 방식이에요. 얼마나 효과적으로 알맞게 정해진 재화를 소비하는가.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나의 것, 너의 것을 사용하면 일회성이지만 그 간극에서 제3자의 재화도 효과적으로 사용하자는 취지입니다. 공유지의 비극도 여기서 나오는 부작용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이런 개념은 자본주의의 출현과 그에 따른 반발로 다시 탄생했습니다. "가진 자들이 다 해먹는다"는 반발이 커지면서 자본주의의 횡포가 극에 달했을 무렵, 공유경제가 등장한 행간을 읽어야 합니다. "도저히 부자가 될 방법이 없어...그렇다면 공유경제를 통해 활로를 찾아보자"

하지만 이렇게 탄생한 우버와 에어비앤비 등은 공유경제의 이름을 빌렸을 뿐입니다. 온디맨드의 방식을 차용했을 뿐이에요. 철저하게 O2O의 방식으로 플랫폼을 구성하는 우버와 에어비앤비가 맞춤형 서비스를 수요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B2C가 아니라 C2C 모델이라는 이유로 공유경제를 붙인다? 상상해보세요. 제가 우버를 통해 자동차를 불렀습니다. 그런데 우버가 다른 개인의 차량을 보내는 것이 아니라 특정 회사의 차량을 불러준다면? 수요자 입장에서는 필요한 서비스를 지원받으니 좋아요. 하지만 이건 공유경제가 아니라, 온디맨드입니다.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에요.

즉 소비의 관점에서 공유경제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니 온디맨드 사업의 부작용이 두드러지는 겁니다. 물론 이견의 여지는 있습니다. '잉여재화'를 연결하기 때문에 우버와 에어비앤비는 공유경제가 맞다는 주장도 있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생태계와 수요자 입장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공유와 경제 중 어디에 방점을 찍느냐, 마지막으로 각 기업의 서비스 핵심이 수요자의 측면에서 서비스가 결정되는 온디맨드와 가깝다는 점을 보면 상황이 묘해집니다.

그래서 처음 제가 말한 기사의 질문을 바꿔야 합니다. '국내시장에서 왜 온디맨드가 힘을 쓰지 못할까?'로 변경해야 해요. 지금 우리가 말하는 것은 공유경제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소비의 방식이 아니라 이를 통한 경제적 이윤의 창출로 접근하기 때문입니다. 철저한 온디맨드. 다만 C2C 모델이라 제3자의 재화를 이용한다고 공유경제의 패러다임을 차용했을 뿐.

그런데 이런식으로 냉정하게 정리한다면, 공유경제에 대한 근원적 활용법을 논할 기회부터 상실하게 됩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할까요? 먼저 공공기관이 공유경제 플랫폼, 혹은 생태계 역할을 해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경기도가 연정부지사 직속의 공유적시장경제국을 새로 만든다고 합니다. 취지는 기존의 개념과 비슷하지만 나름 의미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소비의 방식인 공유경제를 기왕 재화창출의 플랫폼으로 활용할 생각이라면, 공유경제라는 틀을 벗어버리고 차라리 스스로를 온디맨드로 규정하고 제3의 수익방법을 찾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물론 플랫폼 사업자 중심의 모델을 버리고 조금씩 오프라인으로 접근해 실질적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도 방법이고요. 우버와 에어비앤비를 공유경제 기업이라고 규정하니 다양한 논란이 불거지는 겁니다. 온디맨드적 관점에서 풀어내는 시도는 해당 기업의 입장에서 '있어빌리티'를 상실할 수 있겠지만, 꼭 필요해 보입니다. 그래야 문제의 논의를 정확하게 시작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최근 우버의 자율주행차 실험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는 자율적으로 운행되는 차량과, 이에 연동될 수 있는 스마트시티의 필요성을 전제하지만 성공하는 순간 철저한 온디맨드의 방식을 따라가게 됩니다. 그러나 역으로 경제적 이윤을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공유경제, 즉 경제에 방점을 찍을 수 있는 생태계 실험을 담보할 여지도 생겨요. 그 과정에서 벌어지는 많은 부작용은 차치한다고 해도, 최소한 우버는 자신들이 온디맨드 기업이라는 것을 속으로 알고있는 것 아닐까요?

[IT여담은 취재과정에서 알게된 소소한 현실, 그리고 생각을 모으고 정리하는 자유로운 코너입니다. 기사로 쓰기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한번은 곰곰히 생각해 볼 문제를 편안하게 풀어갑니다]
 

- IT에 대한 재미있는 이야기를 듣고 싶으세요? [아이티 깡패 페이스북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