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otter's Wing, Ø77㎝, Oil & Acrylic on Canvas, 2015

 

문수만 작가의 작업실에는 작은 형상들을 재현하는데 필요한 돋보기부터 재배치한 도상들을 정교하게 재현하기 위해 중간과정에서 필요한 시트 커팅기 등 다양한 도구들이 캔버스와 물감들 사이에 놓여있다. 바탕 작업부터 문양, 바니시 처리까지 60번을 넘게 칠하는 작업공정은 작품의 표면이 그림이 아니라, 자기 같은 느낌을 주게 한다. 겹겹이 쌓인 물감을 갈아냄으로서 절묘한 무늬부터 자잘한 크랙에 이르는 선들이 단층처럼 드러난다.

There are diverse tools such as reading glasses to represent small images and cutting machine for a sheet to detailedly represent rearranged images during the process along with canvases and paints in his studio. The process of more than sixty layers of paints from the background to the patterns and the final varnish cover makes the surface of his paintings not like painting but porcelain. Covering layers of paints again and again reveals lines created from exquisite patterns to small cracks as one layer.

 

▲ Ø36.5㎝

 

백자 표면 형태의 작품에 거미줄처럼 새겨있는 미세한 크랙은, 오래된 사물을 연출할 때 흔히 하듯 재료나 시간성 같은 우연적 요소에 기대는 방식이 아니라, 작가의 의도가 상당부분 관철된 것이라는 점이 놀랍다. 재료와 조건에 대한 오랜 실험 끝에 크랙은 자유자재로, 즉 넓게도 쪼개고 좁게도 쪼개고, 이중으로도 쪼개진다. 이렇게 깨진(또는 깨트린) 틈새로 미세한 물감을 침투시키고 물감을 갈아내면 일종의 ‘크랙 상감’이 된다.

The very fine cracks spreading like a spider web on them have not relied on coincidences such as timing like in the ordinary way but surprisingly appear from the artist’s intention. After the artist’s sincere experiments on materials and conditions, cracks are unrestrictedly split into wide, narrow and double cracks. The artist makes paints minutely permeate the gaps between those cracks and sharpen them, which finally becomes a sort of ‘inlaid cracks’.

 

▲ Ø101㎝

 

이렇게 미묘하게 만들어진 색조 위에서 만이 학도, 용도 날아다닐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작품에는 팔랑거리는 나비 또한 가세한다. 나비의 그의 초창기 작업에서 정밀한 눈속임 기법으로 재현된 바 있는데, 여기에서 사각 캔버스는 일종의 수집장이 된다. 한 마리 한 마리 수집하여 날개의 무늬를 관찰하기 쉽게 펼쳐 바늘로 꽂고 학명까지 붙이면, 하얀 상자 안에 안치되어 그림자까지 떨구는 나비 컬렉션이 완성되는 것이다.

A crane and dragon fly on the color that he delicately created. A butterfly joins in some paintings. A butterfly has represented in his early paintings as a trick. It was painted on a rectangle canvas and this canvas became a collection box, which implies that individual butterflies were carefully collected, spread with pins so that patterns on wings can be easily seen, and titled with scientific names each in a white box of a canvas. Shadows were even depicted as well.

 

▲ Potter's Wing, 49×123㎝(each), Oil & Acrylic on Canvas, 2015

 

문수만이 애용하는 원형 캔버스는 의미 깊은 상징을 담은 또 다른 상징이다. 그것은 세속적 삶 속에서 이루어지지만, 그 안에서 경계를 치고 대안의 세계를 구축하는 예술의 방식이다. 예술이란 예술 외부에 있는 것들과 달리, 그 안에서 만큼은 자유롭게 놀 수 있는 신성한 터전 이다.

Soo-man Moon’s frequently used round canvas is another symbol containing the other meaningful symbol. It is realized in the earthly life but it is a way of art that constructs the alternative world by defeating the boundary within it. Art is a sacred base that one can playas much as one wants within it, unlike other fields.

△글=이선영 미술평론가/Seon-young Lee(Art Critic)

 

▲ Ø210㎝ 원형캔버스를 청자색물감으로 작업을 시작하는 문수만 작가

 

◇문수만(文水萬)

한남대학교대학원 조형미술학과 졸업. △개인전 12회=GALLERY北野坂(일본/고베),수성아트피아 호반갤러리(대구), 모리스갤러리(대전), 가나아트스페이스(서울),인사아트센터(서울) 등.

◇MOON SOO MAN

△Korea Formative Fine Arts, Graduate School of Social and Cultural Science, Hannam University. △Solo exhibitions 12times=Gallery Kitanozaka((Japan/Kobe), Hoban Gallery(Daegu),Morris Gallery(Daejeon),Gana Art Space(Seoul),Gana Insa Art Center(Seoul) ect.

 

키워드

#권동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