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otter's Wing, Ø210cm, Oil & Acrylic on Canvas, 2015

 

사진으로만 보면 이런저런 청자백자 접시처럼 보이기도 하는 그의 작품은 작은 접시를 사람 키 크기로 확대시킨 것이 아니라, 작은 접시를 채운 무늬의 밀도를 그대로 유지한 채 큰 화면으로 관객의 눈앞에 펼쳐놓은 것이다. 그래서 문수만 작가의 작품은 도자기를 완상할 때의 그런 아기자기한 느낌을 넘어선다. 매력적이라고 느껴지는 도자기의 한 요소를 전면화함으로서 새로운 심미적 차원을 여는 것이다.

One can think that the artist’s big painting as a celadon or white porcelain plate when seeing from a photo but it is actually an extension of a small plate into the height of a person while maintaining the density of patterns rather than just an extension. In the result, his paintings go beyond decorative feelings of ceramics. As one of the charming elements of ceramics comes in front, a new esthetic level is opened.

 

▲ Ø101cm

 

그의 작업실에는 둥근 캔버스가 제일 작은 것(지름 36.5cm)에서 제일 큰 것(210cm)까지 켜켜이 겹쳐져 16개가 하나의 세트로 보관되어 있다. 마치 인형 속에 작은 인형들이 겹겹이 들어차있는 러시아의 목각 인형 마트로시카 같은 방식으로, 운송 및 보관의 용이점 외에 우주 속에 또 다른 우주들이 이어져있다는 세계관을 표현한다. 여기에서 대우주와 소우주는 상응(相應) 관계에 있고, 무한한 계열을 이루면서 서로를 비춘다.

In the artist’s studio, sixteen round canvases from the diameter of 36.5cm to 210cm are piled as a kind of a set. It seems like a Russian matryoshka doll, a set of wooden dolls of decreasing size placed one inside another. This way not only allows easy transportation and storage but also expresses the view of the world that there are spaces inside a space. Macrocosm and microcosm here are in the corresponding relation and reflect each other while forming infinite affiliation.

 

▲ Ø77cm

 

그러나 작업과정이 공개되지 않는 한, 그의 작품이 캔버스에 그려진 것이라고는 믿기 힘들다. 둥글거나 길쭉한 형태들은 캔버스 위에 그려진 것이 아니라, 청자나 백자, 금속공예품과 같은 사물의 표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화가 문수만(文水萬)의 전시장은 작품을 눈으로 보는 것을 넘어서 만져보고 두들겨 보는 관객들 때문에 난감하다.

However, until his process is opened, audiences are hard to believe that the artist’s paintings are done on canvases because round or oval forms remind surfaces of objects such as celadon, white porcelain and metal crafts. As a result, MOON SOO MAN exhibition often confronts a helpless situation from audiences who see and try to touch and tap the paintings.

 

▲ With Mother, 122×244㎝(each)×10pieces, Oil & Acrylic on Canvas, 2016. 단원 김홍도(金弘道)가 제작하여 원행을묘정리의궤(園幸乙卯整理儀軌)에 담은 정조 화성능행도(華城陵幸圖)를 문수만 작가가 화가의 눈으로 재해석하여 행렬의 경계를 자유롭게 구성하였다. 캔버스10폭 연작으로 기법은 물감을 이용한 청동부식의 느낌배경에 금과 동의 이중상감기법으로 원본의 사람1800명과 말800필을 전부 그렸다.

 

문수만의 작품에서 반대되어 보이는 것이 하나가되는 역설은 꼬리를 물며 도는 원형 캔버스 에 예시되는 듯하다. 원본이 된 도자기들은 3차원적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이를 2차원으로 펼치면서 변형이 일어난다. 여러 형태의 도자기 위에 그려지거나 새겨진 무늬가 원에 맞게 재배치되는 차원의 변주 속에서 없던 무늬가 들어가기도 한다. 그는 도상과 도상 사이의 연결부위에 요구되는 형태를 새로 만들어 마치 원래 있었던 무늬처럼 배치한다.

In Moon’s paintings, the paradox that involves the ending of contradicting matters to one point seems to be presented in round canvases that rotates around. The ceramic references are three-dimensional but how the artist spreads this into a twodimensional form creates a change. New patterns are sometimes added when various painted or carved patterns on ceramics are rearranged in order to fit in a round shape of a canvas. The artist creates forms that are needed between connections of images and they exist as they have always been.

△글=이선영 미술평론가/Seon-young Lee(Art Critic)

 

키워드

#권동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