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펙셀

올해 가계통신비를 줄일 수 없을까? 이름부터 알뜰한 ‘알뜰폰’이 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알뜰폰 업계는 새해 벽두부터 파격적인 요금제를 출시하면서 고객 몰이에 나서고 있다. 그동안 꾸준히 문제로 지적받았던 알뜰폰의 안정적인 수익구조의 부재가 해결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알뜰폰은 이동통신망이 없는 사업자가 이동통신 사업자들의 통신망을 빌려 소비자에게 재판매하는 서비스다. 알뜰폰이란 용어는 지난 2012년 6월 이동통신 재판매(MVNO)서비스의 홍보용어로 선정돼 사용하기 시작했다. 선진국에서는 평균 15%대 시장점유율을 유지할 만큼 보편화됐다. 

지난해 11월 기준 알뜰폰 가입자는 677만명이다. 같은 기간 국내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 수는 6112만명을 기록했는데 이로써 알뜰폰 가입자 점유율은 약 11%다. 현재 폭발적인 성장을 보이진 않지만 꾸준히 성장해 온 알뜰폰은 내달 7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정책적 지원, 지나친 의존은 경계해야”

정부는 이동통신 시장의 요금경쟁을 촉진해 통신비 절감 효과를 얻고자 알뜰폰 활성화를 위한 적극적인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다. 주무부처인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해 7월 ‘통신시장 경쟁정책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알뜰폰이 이동통신 시장에서 실질적 경쟁 주체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게 골자다. 

주요 알뜰폰 활성화 정책으로는 도매대가를 음성 15%, 데이터 19%인하하고 전파사용료 감면을 2017년 9월까지 연장한다는 내용 등이 있다.

당시 정부는 계획을 통해 데이터 중심 이용자들에게도 유용한 저렴한 알뜰폰 상품들이 등장하여 이용자 선택권이 확대되고, 제반 사업환경의 개선으로 알뜰폰의 가격 경쟁력이 한층 강화돼 알뜰폰 시장이 지속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래부관계자는 “알뜰폰도 일장일단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통사에 비해 자금력과 규모가 딸리는 알뜰폰 사업자가 좋은 단말기를 소싱하고 단말기 지원금을 주는 것까지 하긴 어려울 수 있다”며 “그러나 합리적이고 저렴한 요금제 상품으로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정책적 지원에 너무 의존하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미래부가 내놓은 알뜰폰 활성화 정책으로 성장한 건 맞지만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자생력을 키워야 한다는 설명이다. 단통법의 시효 만료로 지원금 상한제가 폐지될 경우 알뜰폰 업계는 타격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알뜰폰은 주로 노년층이 사용할까?

알뜰폰이 안정적인 사업자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이미지 제고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한 업계 관계자는 “고객들이 알뜰폰을 몰라서 못산다”고 표현했다. 실제로 아직까지 알뜰폰을 노년층이 쓰는 서비스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는 설명이다.

알뜰폰 업계는 젊은층 등을 끌어들이기 위해 파격 요금제를 출시하며 대응에 나서고 있다. 최근 CJ헬로비전 알뜰폰 서비스인 헬로모바일은 쓰다 남은 데이터를 요금 할인으로 돌려주는 '착한 페이백 데이터' 유심 요금제 2종을 출시했다. 업계 관계자는 “데이터를 이월하는 상품은 기존에 있었지만 남은 데이터를 돈으로 돌려주는 상품은 처음”이라며 “이통3사가 내지 못하는 알뜰폰만의 특별한 요금제”라고 평했다.

통신 품질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알뜰폰이 저렴하다는 인식은 있지만 통신 품질에 대해선 잘 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며 “이동통신 3사(SKT, KT, LGU+)가 구축한 망을 빌려쓰기 때문에 통신 품질이 저하될 일이 없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알뜰폰 사업자들이 가입자 유치에만 혈안이 돼 있어 출혈경쟁이 점점 심해진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는 얘기다. 알뜰폰 협회 관계자는 “단발 이벤트성 요금제에서 그치지 않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알뜰폰 향후 전략에 대해서는 “이통3사가 쉽게 출시하지 못하는 창의적인 상품을 출시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