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ntitled, 72×60㎝ Oil on canvas, 2015

 

재미작가로서 고국을 작품의 주제로 삼아 작업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작품들이다. 특히 70년에 이른 분단을 그는 집중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사실 서로에게 위협인 대치 당사로서의 입장은 현실을 제대로 보기 어렵게 한다. 상대를 보는 객관성을 잃고 판단하는 상황은 늘 위험할 수 있다. 그 현실에 대해 이 재미작가는 ‘안타까움’을 더해 말하고 있다.

These works suggest that he is working under the theme of home-land as artist living in the U.S Especiallty. he is focusing on division of homeland reaching seventy years. In fact, the position as party in confrontation, threat to each other, makers it difficult to see the reality properly. Judging others without objectivity is always dangerous. About this reality, this artist living in the United States is describing by adding ‘feeling sorry about it.’

 

▲ 독립의 존재, 72.7×60.6㎝, mixed media, 2014

 

예컨대 부모, 아들딸인 가족이 평생 만날 수 없다는 것을 실감하는 것이 그렇다. 이때의 차이, 그 ‘차이’에 주목한 사상가가 있었다. 프랑스의 철학자 들뢰즈가 그였다. ‘차이’를 보는 것이 왜 중요할까. 다름을 인정할 수 있어야 한 가지 가치로 동일화하려는 폭력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For example, it is so in the fact that parents and son and daughters cannot meet for their lifetime. The difference at this time, the ‘difference’ was focused by a thinker. He was French philosopher Gilles Deleuze. Why is it so important to see ‘differences can prevent violence of unifying into one value.

 

▲ Untitled, 120×200㎝(each) Acrylic on canvas, 2014~2016

 

‘액션페인팅’의 격렬한 제스처를 더 올리지 않을 수 없다. 잭슨플록과 같이 한껏 고양된 표현성을 들어 우리는 그것을 ‘추상표현주의’라고 불러왔다. 동시대의 유럽적 경향으로 ‘앵포르멜’도 비슷한 경향을 가지고 있었다.

It makes us remember intense gesture of ‘action painting. ‘The expressivity which was highly elevated like Jackson Pollock was called by us as ‘abstract expressionism.’ ‘Informel’ has similar tendencies as contemporary European ones.

 

▲ 고성만 작가. 자신의 Art studio에서

 

동양의 서예와 같이 선을 중시하거나 물감으로 만든 두터운 질감도 그들의 주요기법이었다. 즉, 작가 고성만 작가의 추상표현주의적 필법이 깊게 배어 있는 작품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은 의심의여지가 없다.

Emphasizing on line like in caligraphy in the East and thick texture made with paints are his major techniques. In other words, the artist KO SENGMAN undoubtedly deeply-rooted abstract expressionistic style.

▲글=최형순(미술평론가)/Choi Hyeongsun(Art crit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