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규제 등의 여파로 전국의 아파트 거래 시장이 위축된 상황에서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이 7주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업계에서는 서울 집값의 바로미터라 할 수 있는 강남 재건축 아파트의 가격 회복이 크게 작용했다는 평가다.

개포주공2단지 앞세워 강남 재건축가격 다시 ‘꿈틀’

한국감정원의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4월 4일 기준)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올 들어 첫 상승세를 보였다. 이는 강남 개포지구 등 강남 재건축 시장이 활기를 되찾았기 때문이다.

최근 삼성물산이 분양한 개포주공2단지 재건축 ‘래미안 블레스티지’ 49㎡의 경우 3.3㎡당 4090만~4495만원으로 책정돼 분양 전부터 고분양가 논란이 있어왔다. 하지만 실제 청약에서 청약자들이 대거 몰리며 최고 67.64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이며, 고분양가로 인한 미분양 우려를 말끔하게 씻어냈다.

실제 개포주공 아파트의 경우 ‘래미안 블레스티지’ 청약 성공 효과를 톡톡히 보며 집값도 고공행진 중이다.

12일 개포주공 인근 공인중개업소에 따르면 개포주공1단지의 소형 36㎡의 호가는 현재 7억6000만~7억7000만원 선으로 형성돼 있다. 이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등록된 직전 최고가(2010년 1월 7억5000만원)보다 더 높다.

인근 G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개포지구는 대치나 반포에 비해 강남권에서 외진 입지 탓에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받는 지역이었지만 최근에는 개포주공 재건축 관련 문의 전화 및 계약 건수도 늘고 있다”며, “특히 낮은 평형일수록 가격이 더 많이 상승해 36㎡의 경우 한 달 사이 호가가 1억원 정도 상승했다”고 전했다.

여기에 오는 7월 일반분양 예정인 개포 주공3단지는 시공사인 현대건설이 자사의 프리미엄 아파트 브랜드 ‘디에이치’를 첫 적용한다고 밝히면서 역대 최고 분양가에 나올 것이라는 전망도 인근 재건축 아파트값을 끌어올리고 있다.

올해 분양시장도 강남 재건축이 주도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강남권 재건축 분양 러시는 이어질 전망이다.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올해 강남권 내 분양 예정 물량은 지난해보다 36.7% 증가한 11개단지 3993가구다.

지난 1월 서초구 잠원동 반포한양을 재건축한 ‘신반포자이’와 개포주공 2단지 재건축 ‘래미안 블레스티지’가 순조롭게 청약을 마친데 이어 오는 7월 강남구 개포동 주공3단지를 재건축하는 ‘개포주공3 디에이치’, 서초구 방배동 방배3구역을 재건축하는 ‘방배3 자이’, 서초구 잠원동 신반포 5차를 재건축하는 ‘아크로 리버 뷰’, 강남구 일원동 현대를 재건축하는 ‘래미안’, 서초구 잠원동 잠원한신 18차를 재건축하는 ‘래미안’이 줄줄이 대기중이다. 송파구에선 거여동 거여 2-2구역을 재개발하는 ‘e편한세상’이, 풍납동 풍납우성을 재건축하는 ‘아이파크’가 분양 예정이다.

김수연 닥터아파트 리서치팀장은 “강남 재건축 아파트 시공사들은 대부분 시공능력평가 10위권에 포함되는 대형 건설사들로 구성돼, 올해도 강남지역에서 각 아파트 브랜드 자존심을 건 한판 승부가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실제 거래 더 지켜봐야, 일시적 반등 가능성도”

전문가들은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에 힘입어 서울 아파트 값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지만 이러한 움직임이 장기적으로 이어질 지는 미지수라고 지적하고 있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최근 개포지구가 단기간 내 5000만원 이상 호가가 오르면서 시장 분위기는 달아올랐지만, 단기 급등으로 실제 거래까지 이어질지는 불투명하다”며, “특히 주택자금 대출 규제와 금리 상승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해 일시적인 반등에 그칠 우려도 높다”고 전했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부동산 경기 전망 자체가 불투명하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매매가격이 오르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특히 지역별로 아파트 가격 양극화는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강남 재건축 시장이 현재 신규분양시장 등의 영향으로 다소 과열됐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미윤 부동산114 책임연구원은 “강북권은 대체로 실수요자가 움직이는 시장이지만 강남 재건축 단지의 경우 고분양가 논란에도 단기 시세차익을 노린 투기수요가 아직까지 많다”며, “5월부터 지방까지 대출규제가 확대되면 매수세가 위축될 수 있으므로 실수요자는 대출 상환 능력을 고려해 내 집 마련을 접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