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라크 신도시 공사 모습(출처=한화건설)

신흥개발국 신도시건설 급증…한국 신도시의 경쟁력

저유가로 휘청거리던 해외건설 사업에 한국형 신도시 수출이 블루오션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개도국의 인구 증가와 도시화 현상의 가속화로 주거단지 및 신도시건설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 특히 사회적 인프라가 취약한 중동, CIS,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신도시 건설붐이 지속되고 있으며, 신도시 수출시장 규모도 증가하고 있다.

실제 국내 건설사들은 연간 해외 수주 물량 가운데 최고 80%를 차지할 만큼 석유화학 플랜트에만 편중된 사업영역을 최근 급격한 도시화로 수요가 늘고 있는 중동과 동남아시아 도시개발사업에 뛰어드는 전략으로 다변화 중이다.

해외건설협회 관계자는 “한국형 신도시의 경쟁력은 무엇보다도 속도와 규모, 비용적인 측면에서 선진기업을 앞서고 있다”며, “우리기업의 경우 신도시 건설 기간은 통상 5~7년이 소요되나 선진국은 20~30년이 걸려 한국기업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고 말했다.

특히 선진국의 신도시는 인구 15~20만명을 수용하는 도시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30~50만명을 수용하며 신도시건설 사업비도 저비용의 사업구조를 갖추고 있는 것도 강점이다. 이러한 경쟁력으로 인해 빠른 산업화를 필요로 하는 자원 부국과 신흥개발국은 한국형 신도시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신도시 수출 성공…파이낸싱 한계 극복에 달렸다

물론 신도시 개발사업에 장밋빛 미래만 펼쳐져 있는 것은 아니다. 해외 신도시 건설사업은 성공시 수익이 높은 반면, 리스크도 매우 높은 사업이기 때문이다.

한화건설 관계자는 “해외 도시개발사업의 경우 사업기간이 짧게는 7년에서 길게는 수십년에 달하기 때문에 국내 건축현장보다 잠재 리스크가 훨씬 크다”며, “사업이 장기화될 경우 진출국의 시장 및 정책 변화 등에 따라 다양한 위험에 노출돼 있는 것도 사실”이라고 전했다.

실제 캄보디아는 한때 정부가 외국인과 상류층을 대상으로 신도시 개발계획을 수립하면서 부동산 개발 붐이 일었지만, 지난 2008년 세계금융 위기 이후 급속도로 분위기가 꺾이자 GS건설, SK건설 등은 현지 사업지 매각 및 현지법인을 청산한 바 있다. 아프리카 신도시 개발사업에 진출했던 한 건설사도 정치권 내분으로 사업이 2년 이상 지연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사업 초기단계에서 정부 차원에서 마스터플랜을 수립해주고 수익성이 확실한 곳에만 국내 건설사들이 선별적으로 참여하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이우종 가천대학교 교수는 “아직 우리의 국제계약, 마케팅, 클레임 대처능력 등이 선진국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국내기업이 해외로 진출함에 있어서 실질적인 하나의 창구가 없이 각개전투를 통해 난관을 헤쳐 나가고 있는 상황”이라며, “해외시장 진출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공공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원이 전제돼야 한다”고 말했다.

일관성 있는 정부의 정책 지원도 필요하다. 해외 신도시 사업이 대부분 5년 이상 진행되는 장기 프로젝트인 만큼 정권 교체 이후 신도시 사업 관련 정책이 바뀔 시 수주하는 건설사 입장에서는 난처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끝으로 자금 조달(파이낸싱) 문제도 해결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개발도상국가가 발주하는 신도시 건설 사업은 프로젝트는 대부분 기업에 100% 파이낸싱을 요구하는 방식이다.

해외건설협회 관계자는 “해외 신도시사업의 경우 국가 및 분양 리스크가 커 보수적인 국내 금융회사들은 자금 지원을 회피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경험이 풍부하고 민간 기업보다 자금 조달이 쉬운 공기업이 적극적으로 나서야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