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집값 하락이 현실화되며 주택 시장에 이상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이달 들어 가격 상승폭이 둔화되고 매수 문의가 감소하는 데 이어 실질적인 거래량도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적 비수기로 인한 일시적 하락이라는 의견도 나오지만 공급과잉·가계부채관리 악재 등으로 인한 분위기 전환이라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한동안 미국 금리인상과 가계부채관리방안에 따른 대출규제 강화 등을 앞두고 주택시장은 더욱 얼어붙을 전망이다.

29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지난주 기준 서울 노원구와 관악구의 아파트값은 각각 0.03%, 0.06% 떨어졌다. 이들 지역의 주간 아파트값이 하락한 것은 지난해 상반기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강동구는 6000가구에 육박하는 둔촌 주공아파트 단지가 재건축 추가부담금 증가로 가격이 떨어지면서 2주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강남구와 금천·서대문·용산·중구 등 5개구는 보합 전환했다. 나머지 상승한 지역도 지난달에 비해 오름폭이 크게 둔화됐다.

관악구 역시 매매 거래가 줄고 있다. 봉천동 관악현대 전용 68.8㎡는 2주 전 3억4500만원에서 지난주 3억4000만원으로 500만원 떨어졌다.

지방은 이보다 앞서 지난달부터 대전·세종·강원·경북·충북·충남 등 상당수 지역에서 매매가격 하락이 시작됐다. 서울·수도권에서 마이너스 변동률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이달 중순 이후다.

경기도도 마찬가지. 구리시의 경우 2주전 0.02%로 경기지역을 통틀어 올들어 첫 하락세를 기록했다. 지난주에도 0.03% 하락하며 2주 연속 마이너스 변동률을 보였다. 안산시의 아파트값도 지난주 올해 들어 처음으로 0.02% 빠졌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 정보를 살펴 보면 이달 27일 기준 11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9281건으로 지난달(1만1670건)보다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아파트 가격이 떨어지기 시작된 것은 일단 주택시장이 계절적 비수기에 접어든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가을에 이사를 하려는 수요자들이 8∼9월에 상당수 계약을 마치면서 최근엔 찾는 사람이 감소했다는 얘기다.

다만 심리적 요인도 만만치 않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올해 말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내년중에는 국내 시중은행의 금리가 오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

내년부터 가계부채관리방안이 시행돼 대출 소득심사가 까다로워지고 원리금 분할상환 대상이 늘어날 경우 주택시장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는 우려도 늘고 있다. 주택 구입을 망설이는 사람이 많아진 원인으로 풀이된다.

지방에서 미계약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주택 시장에는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조만간 정부가 발표할 가계부채 대책이 내년에 본격적으로 시행될 경우 주택시장이 예상보다 빠르게 냉각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부동산 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가 과도한 대출 규제 등을 진행할 경우 주택 시장에는 한동안 냉풍이 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