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한국경제연구원

정부와 언론에서 지적한 기업 현금보유 비율이 실제로는 10년 전보다 감소했다는 주장이 제기돼 이목이 모아진다.

한국경제연구원은 ‘기업현금 분석: 2000년대 상장 및 비상장 기업을 대상으로’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기업의 규모가 커지면 유동성 확보를 위해 필요한 현금도 증가할 수밖에 없다”며 “전체 자산에서 현금이 차지하는 비율을 측정해야만 현금보유 증가여부를 제대로 검증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즉, 기업의 현금은 현금과 현금성자산, 단기금융상품, 단기투자증권의 합으로 단순 현금이 아닌 광의의 개념이란 관점에서 접근한 조사다.

이번 연구는 자산 300억원(2010년 기준, 소비자물가지수로 연도별 조정) 이상인 상장 및 비상장 기업 7841개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자산 300억원 이상 상장·비상장 기업의 자산대비 현금보유비율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를 기점으로 점차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장·비상장기업의 자산대비 현금보유비율 평균은 2001년 13.2%에서 2012년 12.2%로 감소했다. 상장기업의 경우 14.3%에서 13.3%로 낮아졌고, 비상장기업도 12.6%에서 11.8%로 감소했다.

기업의 현금보유가 증가하고 있다는 주장에 대해 김윤경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외부 자금 조달이 어려운 기업의 경우 내부 현금에 의존하는 측면이 있을 뿐만 아니라 기업의 현금 증가는 다국적 기업의 수출호조를 의미하기도 한다”며 “비판에 앞서 기업의 현금보유가 증가하게 된 원인과 목적을 제대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001년부터 2004년 중 재무데이터를 근거로 기업규모, 성장기회, 배당, 투자규모 등을 감안한 적정 자산대비 현금비율(이하 추정 현금비율)을 도출했다.

이를 2005년 이후 실제 자산대비 현금비율과 비교한 결과 2008년 금융위기 전까지 전반기 동안은 추정치와 실제 현금보유비율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2009년 이후부터는 오히려 실제 현금보유비율이 추정 현금비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윤경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기존의 주장과 달리 오히려 최근 들어 기업들이 필요한 현금보유량보다 적은 현금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일부 대기업의 현금보유에만 주목해 기업 현금에 대한 정책을 시행한다면 기업 전체를 고려하지 못한 성급한 일반화의 부작용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현금보유가 늘은 일부 기업들의 경우 신규 현금흐름 창출을 통해 내부자금 의존도를 낮추는 의의로 오히려 투자와 현금의 선순환을 기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마디로 일부 기업을 기준으로 대다수의 기업들이 현금보유를 늘리고 있다는 지적은 정책결정에 올바르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일부 보유비율이 증가한 경우 역시 시장의 선순환과 글로벌 경쟁력 제고라는 차원에서 비난할 일은 아니라는 주장이다.

 

▲ 출처= 한국경제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