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이 눈이 되어 정보 격차 넘는다... LG유플러스 10번째 디지털 포용 거점 완성
충주성모학교에 U+희망도서관 개관... 임직원 나눔으로 마련한 ICT 기기로 시각장애 청소년 학습권 보장
LG유플러스가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시각장애 청소년들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는 열 번째 거점을 마련했다고 26일 밝혔다. 단순한 기부 활동을 넘어 통신업의 본질인 연결과 기술을 통해 디지털 소외 계층의 교육 격차를 해소하겠다는 ESG 전략의 일환이다.
LG유플러스는 충북 청주시에 위치한 충주성모학교에 10호 U+희망도서관을 구축했다. 이번 개관은 2017년부터 사회복지법인 하트-하트재단과 이어온 장기 프로젝트의 결실로 청주맹학교를 시작으로 부산 대구 광주 등 전국 주요 특수학교에 이어 열 번째 이정표를 세우게 됐다.
최근 교육 현장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시각장애 학생들의 정보 격차 문제가 사회적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일반 도서나 시각 정보 중심의 교육 자료에 접근하기 어려운 탓에 학습권 침해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LG유플러스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최신 ICT 기기를 지원하는 방식의 솔루션을 택했다.
새로 문을 연 도서관에는 점자 출력이 가능한 프린터와 문자를 확대해 보여주는 독서확대기 등 첨단 보조공학 기기가 도입됐다. 이를 통해 시각장애 학생들이 일반 도서나 디지털 정보를 스스로 습득하고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전망이다. 특히 이번 도서관 구축 비용이 임직원들이 애장품을 판매해 모은 나눔마켓 수익금으로 마련됐다는 점에서 구성원들이 주도하는 사회공헌 문화가 정착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세심한 공간 구성도 돋보인다. LG유플러스 임직원 20여 명은 개관에 앞서 지난 25일 학교를 찾아 담장 벽화 그리기 봉사를 진행했다. 약 46.15㎡ 규모의 벽화는 저시력 학생들이 인식하기 쉬운 밝은 색감과 디자인을 적용해 심리적 안정감을 주도록 설계됐다.
통신 업계에서는 이 같은 활동을 단순 자선이 아닌 미래 세대를 위한 디지털 포용성 강화 전략으로 해석한다. SK텔레콤의 AI 기반 시각장애인 보조 서비스나 KT의 점자 도서관 지원 등 경쟁사들도 각자의 기술력을 앞세워 취약 계층 지원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LG유플러스는 교육 인프라 구축이라는 하드웨어적 접근을 통해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박경중 LG유플러스 대외협력담당(상무)은 "열 번째 U+희망도서관을 통해 충주성모학교 학생들이 한층 더 성장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며 "LG유플러스는 앞으로도 모든 학생들이 환경과 관계없이 꿈을 키울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언급했다.
오지철 하트-하트재단 회장 역시 "앞으로도 교육환경 개선과 인프라 구축을 통해 시각장애 아동들이 소외 없이 평등하게 교육을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며 "이번 ICT 보조공학기기 지원을 통해 시각장애 아동들이 책을 통해 더 넓은 세상을 경험하고 꿈을 키워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