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인센티브가 차이 만든다… 새 자본주의 모델 필요”

효율성만 강조한 전통 자본주의 지속가능성 한계 꼬집어 저비용 사회 궁극적 지향해야 한다 방향성 제시

2025-11-21     양정민 기자

최태원 SK 회장은 21일 도쿄대 야스다 강당에서 열린 ‘도쿄포럼 2025’에서 “자발적·의욕적 두뇌 활용이 모든 차이를 만든다”며 “새로운 자본주의는 자발적·의욕적 두뇌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인센티브를 강화해야 한다. 인센티브가 실제로 모든 차이를 만든다고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전통적 자본주의는 정부가 기업들이 창출한 이윤에 비례해 세금을 부과하고 그 세금으로 사회 문제를 처리해왔다며 이것이 바로 효율성과 지속가능성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방법이었지만 이 시스템은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최 회장은 “현대의 자본주의에서는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비용이 너무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며 “지난 세월 동안 자본주의는 효율성을 강조했지만, 사회 문제를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해서는 많은 고민을 하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왼쪽)이 21일 일본 도쿄대 야스다 강당에서 열린 '도쿄포럼 2025'의 비즈니스 리더 세션에 참석해 토론하고 있다. 오른쪽은 이와이 무츠오 일본경제동우회 회장 대행 겸 일본담배산업 이사회 의장. 사진=SK수펙스추구협의회

이 안건의 해결 방법으로 인공지능(AI)을 꼽았다. 지금까지는 얼마나 많은 사회 문제가 있는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비용이 드는지 측정하기가 어려웠지만 이젠 AI와 디지털 기술, 데이터가 있기 때문에 사회적 가치 비용이나 창출 가치를 정량화할 수 있다고 기대했다.

최 회장은 궁극적으로 저비용 사회를 지향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비용 사회란 세금 부담은 줄고, 사회는 더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비즈니스에는 더 많은 여유가 생기는 구조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1일 일본 도쿄대 야스다 강당에서 열린 '도쿄포럼 2025'의 비즈니스 리더 세션에 참석해 토론하고 있다. (왼쪽부터) 후지이 테루오 도쿄대 총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이와이 무츠오 일본경제동우회 회장대행 겸 일본담배산업 이사회 의장. 사진=SK수펙스추구협의회

최 회장은 “사회 문제가 증가하면 비용도 증가하고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더 많은 세금을 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저비용 사회를 만든다면, 경제 측면, 민간 측면에 많은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경제 활동을 통해 얻는 재무적 이익과 사회 문제를 줄이는 사회적 가치 두 가지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라며 “기존에는 정부가 세금을 걷어 사회 문제를 처리했지만, 만약 어떤 주체가 정부가 해야 할 사회 문제 해결을 대신해줬다면, 이젠 세액 공제와 같은 혜택을 주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날 일본에서 진행된 비즈니스 회의에서 최 회장은 한일 협력을 위한 전환 방식도 제안했다. 최 회장은 “한국, 일본은 모두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높기에 에너지를 함께 저장하고, 함께 공유하고, 함께 운용하면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며 “보험 체계가 다르더라도 일부 상호 인정 제도를 도입하면 양국의 고령층이 서로의 의료·요양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사회적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스타트업 협력을 통해 한·일 양국을 ‘사회 문제 해결 테스트베드’로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1일 일본 도쿄대 야스다 강당에서 열린 '도쿄포럼 2025'의 비즈니스 리더 세션에 참석해 토론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철희 일본 국제문화회관 특별고문(前 주일대사), 후지이 테루오 도쿄대 총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이와이 무츠오 일본경제동우회 회장대행 겸 일본담배산업 이사회 의장, 이한주 뉴베리글로벌 회장. 사진=SK수펙스추구협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