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공사, 국내 최초 천연가스 설비 고장 '조기판별' 장비 개발

AI 예지보전 시스템 학습용 빅데이터 활용 전망

2025-11-19     장지현 기자
한국가스공사 본사 전경. 사진=한국가스공사

한국가스공사가 국내 최초로 천연가스 설비 고장을 조기에 판별하는 'KESA 자동진단장비'를 자체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가스공사는 지난해부터 LNG(액화천연가스) 생산기지 회전설비 이상 진단 장비 개발 연구 과제를 수행해 왔으며 최근 총 41대의 주요 천연가스 설비에 대한 실증 테스트를 마치고 현장 도입을 앞두고 있다.

KESA 자동진단장비는 LNG 생산기지의 초저온 LNG 펌프, 증발가스 압축기, 기화해수펌프 등 전동기 구동 방식 설비 약 440대에 공급되는 전력 데이터를 분석해 발생 가능한 고장을 예측한다. 비전문가도 현장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자동 상태 진단 기능이 탑재된 이동식 기기로 개발된 점이 특징이다.

이번 연구 개발을 통해 설비 진단 장비 도입 비용을 외산 대비 약 60% 절감하는 한편, 고장 진단 범위도 기존 장비로 가능했던 모터뿐만 아니라 부하측 샤프트·베어링·임펠러 등 부품 영역까지 확대했다. 해당 장비를 현장에 투입함으로써 상태기반정비를 통한 설비 운전시간 연장과 정비 비용 절감 등 여러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장비를 전국 LNG 생산기지 5곳(평택·인천·통영·삼척·제주)에 올해 말까지 1대씩 보급하고 사용자 교육을 시행한다는 계획이다. 나온 각종 정보는 향후 가스공사가 구축 예정인 'AI(인공지능) 천연가스 설비 예지보전 시스템'의 학습용 설비 운영 빅데이터로 쓰일 전망이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KESA 자동진단장비는 천연가스 설비는 물론 유사 설비를 운영하는 다른 산업 분야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는 만큼,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 이전 등을 통해 산업 생태계 전반의 상생 혁신에도 적극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