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급등에 국고채 수익률 '비상'… 증권가 채권 손절 확산
국고채 금리 급등으로 채권 투자 수익률에 '빨간불'이 켜졌다. 이에 채권 투자 비중이 큰 증권사에서는 너 나 할 것 없이 채권을 손절하고 나섰다.
11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전날 기준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연 2.865%를, 10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연 3.230%를 기록했다.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위축, 코스피 초강세 등 영향으로 지난달 중순부터 상승 전환한 국고채 금리는 이달 들어 더욱 가파르게 상승했다.
3년물 금리의 경우 지난달 10일 2.591% 기록 이후 한달도 채 되기 전인 지난 7일, 2.894%로 연중 최고치를 쓰며 30bp(1bp=0.01%포인트) 급등했다. 같은 기간 10년물 금리도 연 2.964%에서 연 3.226%로 26bp 이상 뛰었다.
채권의 가격과 금리는 반대로 움직여 금리 상승은 가격 하락을 뜻한다.
국고채 가격 급락의 배경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사실상 사라진 데에 있다.
정부의 강력한 가계대출 규제에도 부동산시장 과열 현상이 쉽사리 잡히지 않고 있을뿐 아니라, 경기 둔화를 우려해 기준금리를 낮춰야 할 정도로 경기 전망이 나쁘지는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11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종전의 0.8%에서 0.9%로 0.1%p 상향 조정했다.
여기에 증시 활황으로 자금이 은행에서 증시로 옮겨가는 '머니 무브'가 나타나면서 은행권의 채권 매수 여력이 줄어든 것도 국고채 금리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국고채 몸값이 계속 떨어지다보니 증권가에서도 연이은 채권 손절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증권사의 경우 자기자본으로 채권에 단기 투자를 하기 때문에 연기금·보험사 같은 장기 투자자보다 타격이 클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사실상 소멸하고 내년 국고채와 특수채 발행 우려까지 더해져 수급이 꼬인 상황"이라며 "국고채 손절이 일주일 넘게 진행되고, 지난주 후반에는 크레디트물(신용물) 손절까지 나오며 금리 하락이 제한되고 있다"고 말했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도 "올해 채권투자는 이제 이자수익까지 날아간 손실 구간에 진입했다"며 "특히 국고채 중심으로 투자한 경우 내상이 더 크다"고 진단했다.
현재로서는 금리가 하락세로 전환될 계기가 마땅치 않아 장기적인 금리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김성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성장 모멘텀이 개선된 거시적 환경, 기준금리 인하 사이클 종료를 앞둔 통화정책, 여기에 늘어난 국채 공급량 등 수급 환경 악화도 현실화하고 있다"며 "올라간 금리가 이전 수준으로 내려오기는 어렵고 (10년물 금리) 3%대 장기금리에 익숙해져야 할 때"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