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대 기업 임원 될 확률 0.82%… 작년보다 문턱 더 높아져
직원 122.5명당 임원 1명… 전년 119명 대비 증가 삼성전자 117명당 1명, KB금융 6.2명당 1명으로 편차 커
국내 100대 기업에 다니는 일반 직원이 임원으로 승진할 확률은 1%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는 작년보다 임원 문턱이 더 높아졌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2025년 100대 기업 직원의 임원 승진 가능성 분석' 결과를 11일 발표했다. 조사는 상장사 매출액 100대 기업(2024년 별도 기준)을 대상으로 직원과 임원수를 비교 조사했다.
조사 결과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반기보고서 기준 100대 기업 전체 직원 수는 86만1076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동기간 파악된 84만9406명보다 1만1670명(1.4%) 늘어난 숫자다. 이와 달리 미등기임원은 작년 7135명에서 올해 7028명으로 감소했다. 1년 새 임원 자리는 107곳(1.5%) 사라졌다.
직원은 늘고 임원 자리는 줄어 올해 100대 기업 전체 직원 중 임원은 122.5대 1 수준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00대 기업 직원 119명당 1명꼴로 임원으로 활약했다면 올해는 122.5명당 1명으로 늘었다.
올해 100대 기업 직원 중 임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0.82%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산술적으로 100대 기업에서 일반 직원이 임원으로 오를 가능성은 1%에도 못 미치는 확률이다. 임원 승진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을 대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100대 기업 중에서도 회사별로 임원 승진 가능성은 천차만별이었다. 우선 재계를 대표하는 주요 4대 기업이다.▲삼성전자(작년 110.3명→올해 117명) ▲현대자동차(143명→151.6명) ▲LG전자(116.1명→116.2명) ▲SK하이닉스(163.9명→165.6명) 순으로 나타났다. 주요 4대 기업 모두 올해 임원으로 진입하는 문턱이 지난해 대비 모두 소폭 높아졌다.
올해 100대 기업 중에서는 삼성전자의 미등기임원 숫자가 가장 많았다. 반기보고서 기준으로 올해 파악된 미등기임원은 1107명이다. 삼성전자의 임원 승진 확률도 지난 2014년 1.24%에서 올해는 0.85%로 떨어졌다.
반면 'KB금융그룹'은 임원 1명당 직원 수가 6.2명으로 다른 기업들에 비해 임원 자리에 오를 기회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직원이 임원으로 진출할 수 있는 산술적 확률도 16.2% 정도로 100대 기업 중 가장 높았다. 지주사의 특성상 계열사 등에서 임원을 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 것도 한 요인으로 꼽혔다.
현대코퍼레이션도 직원 13.4명(7.45%)당 임원 1명 수준으로 다른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임원 비율이 높은 편에 속했다. ▲삼성중공업(316.9명) ▲LG디스플레이(313.2명)도 300명이 넘는 직원 중 1명 정도만 임원 반열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 ▲키움증권 20.2명(4.95%) ▲LX인터내셔널 21.2명(4.72%) ▲SK가스 25.3명(3.96%) ▲미래에셋증권 25.4명(3.93%) ▲미래에셋생명 26.2명(3.81%) ▲삼천리 28.1명(3.56%) 순으로 직원 30명 미만당 임원 1명 수준으로 조사됐다.
업종별로도 큰 편차를 보였다. 증권업이 올해 직원 38.9명당 1명꼴로 임원 자리에 비교적 많이 올라섰다. ▲무역(53.7명) ▲보험(75.8명) ▲석유화학(76.1명) ▲식품(97.3명) ▲건설(98.1명) 업종 등도 직원 100명 미만 중에서 임원이 활약하고 있다.
그러나 유통 쪽은 직원 330.5명당 한 명 정도만 임원 명패를 단 것으로 조사됐다. 유통업의 특성상 매장 직원이 상대적으로 많아 일반 직원으로 입사해 임원까지 오를 수 있는 가능성 역시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마트가 사례다. 전체 직원은 2만3660명인데 미등기임원은 31명으로 직원 763.2명당 임원 1명꼴이었다. 산술적인 임원 승진 확률은 0.13% 정도다.
▲자동차(147.1명) ▲에너지(188.2명) ▲조선중공업(166.2명) ▲운송(140.3명) ▲전자(136.6명) ▲금속철강(114.7명) ▲정보통신(102.5명) 업종 등도 산술적인 임원 승진 경쟁률이 100대 1 수준을 넘었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국내 대기업 임원의 평균 재임 기간은 2년 남짓에 불과하고 시간이 갈수록 세대교체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며 “향후 정년 65세 연장이 현실로 이어지면 기업들은 인건비 부담과 조직 효율화 차원에서 임원 자리를 지금보다 더 축소하고, 핵심 직무 중심의 인력구조 재편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