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고용·가계대출·재정 동향 잇따라 발표…청년 고용 추이 주목
10·15 대책 후 가계대출 변화 '주목'
다음주(10∼16일)에는 일자리·재정·가계대출 등 최근 경기 흐름을 가늠할 주요 지표가 잇따라 공개된다.
경기 둔화와 고금리, 부동산 대책의 영향이 겹치는 가운데, 정부의 경제 진단과 금융당국의 대응 방향이 주목된다.
◆ 청년층 일자리 감소세 이어질지 주목
국가데이터처는 12일 '10월 고용동향'을 발표한다. 지난 9월 취업자 수는 30만명 이상 늘어 19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지만, 연령별·업종별로는 흐름이 엇갈렸다.
60세 이상 고령층에서 일자리가 38만명 이상 증가한 반면, 15∼29세 청년층 취업자는 14만6000명 줄었다.
업종별로는 추석 특수와 소비쿠폰 효과로 도소매업, 예술·스포츠·여가서비스업이 늘었지만, 제조업과 건설업은 부진이 이어졌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9일 '경제동향 11월호'를 내놓고 경기 진단을 제시한다. 14일에는 기획재정부가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을 발표해 물가와 수출입, 내수 흐름 등을 점검할 예정이다.
◆ 재정 적자 확대·가계부채 흐름도 공개
13일에는 9월 말 기준 '재정동향'이 공개된다. 올해 1∼8월 관리재정수지 적자는 88조3000억원으로, 2020년 96조원에 이어 역대 두 번째 규모다.
한국은행은 14일 '10월 수출입 물가지수'를 발표한다. 국제유가가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는 가운데, 고환율이 수입 물가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예상된다.
같은 날 '10월 금융시장 동향'도 공개된다. 지난달 15일 발표된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이후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세가 얼마나 진정됐는지 주목된다.
금융위원회는 이날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열고 가계대출 동향과 10·15 대책의 이행 상황을 점검한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10월 27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가계부채 연착륙하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그는 당시 "가계신용 1952조원 중 1150조원이 주택담보대출"이라는 지적에 "한국경제가 가계부채를 많이 일으키고 대부분 부동산에 잠겨 있는데, 지속가능한 성장 측면에서 문제가 많다"고 답변했다.
이어 "가계부채를 총량적으로는 경상성장률보다 낮게 관리하고, 공급 측면에서는 생산적 금융으로 전환시키겠다"며 "상환능력에 맞게 관리하면서 가계부채가 연착륙하도록 총력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우리나라 가계신용(1952조원)은 GDP의 97% 수준으로, 미국(74%)·독일(51%)·일본(56%) 등 선진국에 비해 높은 편이다.
이 위원장은 12일 첫 월례 기자간담회를 열고 취임 이후 두 달간의 소회를 밝히고, 생산적 금융·가계부채·입법 추진 방향 등 현안을 설명할 예정이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도 13일 '금융소비자보호 강화' 토론회를 열어 국회와 금융투자업계, 시민·소비자단체, 학계·법조계 등과 함께 실효성 있는 소비자 보호 방안을 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