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글 44% · 소금빵 30% 급등…'빵플레이션' 속 자영업 적자 심화
"빵값은 뛰고 매출은 꺾여"…제과 업종 수익성 악화 '경고등'
국내 제과·베이커리 물가가 좀처럼 잡히지 않고 있다. 특히 베이글 가격은 최근 3년 사이 40% 넘게 오르며 이른바 '빵플레이션(빵+인플레이션)' 현상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신용데이터(KCD)가 9일 공개한 '베이커리 시장 트렌드 리포트'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판매 비중이 가장 높은 품목은 소금빵(15.7%)이었다. 뒤이어 샌드위치 (15.0%), 식빵(7.2%), 크루아상(5.3%), 베이글(5.2%)순으로 집계됐다.
KCD는 주요 인기 빵 10종의 중위가격을 분석한 결과, 베이글의 상승폭이 가장 컸다고 밝혔다. 6월 말 기준 베이글의 중위가격은 4400~4900원으로, 2022년 6월보다 44% 인상됐다. 샌드위치(7500~8300원)는 32%, 소금빵(3300~3700원)은 30%가량 올랐다.
소금빵의 경우 2022년 하반기까지만 해도 2000원대 초반이 일반적이었지만, 현재는 대부분 매장에서 3000원대 중반에 판매되고 이싿.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8월 빵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6.5%, 2022년 6월 대비 19.4% 상승했다. 이는 베이글, 샌드위치, 소금빵 가격이 전체 빵값 상승률의 두 배 이상으로 뛰었다는 뜻이다.
하지만 가격 인상에도 불구하고 업계 수익성은 악화됐다. KCD 조사 결과, 올해 6월 기준 '베이커리·제과점' 업종의 월평균 매출은 907만원으로, 최근 2년간 하락세 끝에 적자로 전환됐다. 임대료와 원재료비, 인건비 부담이 매출을 상회한 결과다.
세부적으로는 프랜차이즈는 비교적 매출 규모가 크고 폐업률이 낮았지만, 개진 제과점은 매출이 작고 폐업 위험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보고서는 2022년 6월부터 2025년 6월까지 포스(POS) 및 배달앱 데이터를 토대로 전국의 3만7000여 개 제과점과 1만5000여 개 카페를 대상으로 분석해 작성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