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소된 96개 정부 전산시스템, 복구까지 최소 한 달
재산세 등 납부 기한 연장…대체 사이트·오프라인 창구 가동
정부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화재로 전소 피해를 본 전산시스템 96개를 대구 민관협력 클라우드 센터로 이전해 복구하기로 했다.
시스템 재가동까지는 자원 준비 2주, 시스템 구축 2주 등 최소 한 달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입주 기업의 협조를 통해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행정안전부는 2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번 화재로 피해를 입은 전산시스템 96개 목록을 공개했다.
◆ 전소된 96개 시스템, 복구 준비 2주·시스템 구축 2주 전망
이 가운데 1등급 핵심 시스템으로는 국가보훈부 통합보훈, 국민권익위원회 국민신문고,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행안부 안전디딤돌, 고용노동부 노사누리, 국무조정실 대테러센터 홈페이지, 행안부 범정부데이터분석시스템, 문체부 정책브리핑 등이 포함됐다.
정부는 당분간 전산 장애가 불가피하다고 보고 대체 수단을 가동 중이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국민신문고·통합보훈 등 민원은 방문이나 우편 접수로 처리하고, 국가법령정보센터는 국회 입법정보 등 대체 사이트를 안내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재산세 등 각종 납부 기한을 연장하고, 오프라인 발급 수수료도 전면 면제했다"고 덧붙였다.
국세청은 이날 화재로 중단됐던 국세 납부 채널이 정상화됐다며 홈택스와 은행 애플리케이션, 가상계좌 등을 통한 납부가 가능하다고 안내했다. 정부는 전산망 일부가 정상 작동하는 12주 안에 복구할 계획이다.
◆ 이중화 미흡 논란·보안 우려 해명
이번 화재는 정부 전산망 이중화 대책의 부실을 드러냈다는 지적도 불러왔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이중화 방식에는 액티브-액티브와 액티브-스탠바이 등 단계가 있다"며 "정부 시스템 특성상 연계 구조가 복잡하고 막대한 예산이 필요해 연구용역을 거쳐 단계적으로 추진하던 중 화재가 발생했다"고 해명했다.
민간 클라우드 이전 과정에서 제기된 보안 우려에 대해서도 입장을 내놨다.
관리원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보안시설을 민간과 공유해 국가 수준의 보안 기준을 동일하게 적용하고 있다"며 "복구 기간 단축과 보안 확보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오는 10월 1일 선거관리위원 인사청문회 직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와 관련한 현안 질의를 진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