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대책에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 둔화 지속…매수심리도 '뚝'

상승률 15주 만에 0.1% 아래로 거래량 65.5% 급감…관망세 심화 “수요 억제만으론 한계…부동산 종합 대책 마련 필요”

2025-08-21     박영규 기자
서울 시내 아파트. 사진=연합뉴스

주택담보대출 상한을 6억원으로 제한한 '6·27 부동산 대책' 여파로 서울 아파트 시장 관망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매매가격 상승률은 15주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고 거래량도 규제 이후 크게 줄었다. 다만 과거 수요 억제 대책 효과가 오래가지 못했던 점을 고려하면 실효성 있는 공급대책이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1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8월 셋째 주(18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9% 상승했다. 직전 주 상승률(0.10%)보다 0.01%포인트 줄어든 수치다. 29주 연속 상승세는 유지했지만 상승폭은 지난 5월 첫째 주(0.08%) 이후 15주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자치구별로는 강남3구 모두 상승폭이 줄었다. 서초구는 0.16%에서 0.15%로, 강남구는 0.13%에서 0.12%로 각각 0.01%포인트 축소됐다. 송파구는 0.31%에서 0.29%로 0.02%포인트 줄었다.

강북권에서는 성동구(0.24%→0.15%), 마포구(0.11%→0.06%), 용산구(0.13%→0.10%) 등 ‘마용성’ 지역의 상승폭이 나란히 둔화됐다. 반면 종로구(0.04%→0.05%)와 중구(0.03%→0.09%)는 상승폭이 확대됐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6월 넷째 주 0.43%까지 치솟았으나 6·27 대책 발표 이후 5주 연속 둔화해 7월 넷째 주 0.12%까지 떨어졌다. 8월 첫째 주 0.14%로 소폭 반등했지만 이후 2주 연속 둔화했다.

한국부동산원은 “일부 신축, 재건축 추진 단지 등 선호단지에서 국지적으로 상승계약이 체결되며 매매가격이 상승하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매수 관망세가 지속되며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소폭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대출 규제 이후 거래량과 매수심리 모두 위축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21일 기준 7월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4149건으로 6월(1만2041건) 대비 65.5% 급감했다. 7월 거래 신고 기한이 8월 말까지인 점을 감안해도 6월 거래량에는 크게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매수심리도 얼어붙고 있다. KB부동산 통계에 따르면 6월23일 99.3이었던 매수우위지수는 8월11일 51.9로 떨어졌다. 매수우위지수는 KB부동산이 공인중개사 대상 설문조사 응답을 집계한 결과로 100을 초과할수록 ‘매수자 많음’을, 100 미만일수록 ‘매도자 많음’을 의미한다.

대출 규제 이후 집값 과열 양상이 진정된 모습이지만 과거 수요 억제 효과가 3~6개월에 그쳤던 점에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조만간 발표될 공급대책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공급 대책에는 3기 신도시 공급 시기를 앞당기는 등 기존 대책의 주택 공급 속도를 높이는 방안이 담길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과거에도 다양한 수도권 공급 대책이 발표됐지만 실행력 부족으로 실제 착공과 준공으로 이어진 물량이 제한적이었다는 지적이 있다. 이에 실질적인 공급 성과를 낼 수 있는 종합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랩장은 “6·27 대책 발표 이후 서울 아파트 매맷값 상승 폭이 크게 둔화된 모습”이라면서도 "과거 정부에서의 수요 억제 대책 효과 기간이 3~4개월 수준에 그쳤던 점을 감안해 시장에 내성이 더 쌓이기 전에 대출과 세금, 공급, 제도 등이 총 망라된 부동산 종합 대책 마련을 서두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