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세대 ‘10명 중 6명’, 착한기업·ESG 제품 비싸도 지갑 열었다

가치소비 통해 자신 신념 적극 표현

2025-08-06     양정민 기자

대한상공회의소가 분석한 결과 '미닝아웃 (Meaning Out, 가치소비)'가 또 하나의 소비트렌드로 자리잡은 것으로 확인됐다.

6일 대한상의가 미래세대 3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ESG 경영과 소비 트렌드 인식 조사’ 결과 Z세대는 기업의 ESG 활동에 따라 구매를 결정하거나 중단하는 등 가치소비를 통해 자신의 신념을 적극 표현했다.

Z세대는 ‘조금 비싸더라도 ESG를 실천하는 기업의 제품을 구매 하겠다’는 응답이 66.9%에 달해 기업의 ESG 실천이 브랜드 선택과 제품구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LG전자가 세계 곳곳에서 브랜드 슬로건 ‘Life’s Good’을 앞세워 선한 영향력을 확산하는 캠페인을 펼친다. 미국법인 임직원들은 뉴저지주 북미 사옥에 조성된 폴리네이터 정원에 100여 종의 토종 식물도 새롭게 심는 등 지속가능한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며 ESG 비전 ‘모두의 더 나은 삶’을 실천했다. 폴리네이터 정원은 벌, 나비 등 수분(受粉) 매개 곤충들이 안정적으로 서식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정원으로, 한국 기업 최초로 국립야생동물연맹의 야생 서식지 인증을 획득했다. 사진=LG전자

반면, 사회적 물의가 있거나 문제가 있는 기업 제품은 ‘보이콧’하는 단호한 모습을 보였는데 ‘기업의 비윤리적 행위나 ESG 관련 부정적 이슈로 구매를 중단한 경험이 있다’(63.7%)는 구체적인 행동으로까지 이어졌다.

이러한 배경에는 Z세대만의 소비 가치관이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청년세대가 선택한 소비 키워드는 절약을 중시하는 ‘짠테크’(32.9%)에 이어 자신의 신념을 소비로 증명하는‘미닝아웃’(26.5%) 등이었다.

‘그린워싱’문제에 대해 응답자의 65.4%는 우려를 나타냈다. ESG 활동을 ‘진정성’없이 단순 홍보수단으로 이용하는 기업은 청년 소비자의 외면을 받았다.

현대차증권 배형근 사장이 ‘바이바이 플라스틱 챌린지’에 동참했다. 사진=현대차증권

청년들은 기업의 ESG ‘진정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기업의 실질적인 변화에 주목했다. ESG 분야별 시급한 개선이슈로는 ‘과도한 플라스틱 사용’, ‘포용성 부족한 조직문화’,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부족’을 꼽았다.

대한상의 조영준 지속가능경영원장은 “미래 국가경제의 주축이 되는 Z세대에게 지속가능경영에 소극적인 기업은 외면 받을 수 있기에 진정성 있는 ESG 경영실천이 중요하다”며 “청년들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상의도 신기업가정신 확산과 사회적가치페스타 등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사업을 지속적으로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