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총량 맞추기 '비상'...은행권, 전세·신용대출 줄줄이 중단
6·27 가계대출 대책 이후 은행권이 전세대출과 신용대출 취급을 잇달아 중단하며 총량 관리에 나섰다. 정부가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면서 은행들은 연초 제출한 가계대출 증가 목표의 절반 수준으로 감축해야 하는 상황이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조건부 전세자금대출 취급을 이달 6일부터 전국 단위로 제한하기로 했다. 대상은 ▲임대인 소유권 이전 조건 ▲선순위채권 말소 또는 감액 조건 ▲기 보유주택 처분 조건 등이 포함된다. 수도권에서만 금지되던 소유권 이전 조건 대출 제한은 전국으로 확대된다.
또한 1주택 이상 보유자의 전세자금대출과 타행 대환 목적의 자금 대출도 전면 중단한다. 다만 ▲8월 6일 이전 계약 체결 및 계약금 납입 완료 건 ▲직장이전 ▲자녀 교육 ▲질병 치료 등의 사유는 심사 후 예외를 인정하기로 했다.
아울러 신한은행은 지표금리로 사용하던 코픽스 6개월물(신규·신잔액) 적용을 8일부터 한시적으로 중단하고, 전산 개편 이후에는 금융채 6개월물로 기준을 바꿀 방침이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금리 인하기에 매일 바뀌는 금리를 더 빨리 대출금리에 반영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은행권 전반으로 가계대출 조이기가 확산되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이미 지난해 9월부터 전국적으로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을 제한해 왔다. 이달 1일부터 'KB직장인 든든 신용대출' 3종의 판매도 전면 중단했다. SC제일은행은 지난 7월 21일부터 5년 주기형 주택담보대출을 대면 방식으로만 취급 중이다.
가계대출이 늘고 있는 상황도 은행권의 선제 조치의 필요성을 높이고 있다.
7월 말 기준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의 가계대출 잔액은 758조 9734억원으로, 한 달 새 4조 1386억원 증가했다.
이 가운데 전세대출은 123조 3554억원으로 3781억원 늘었으며, 전세대출 포함 주택 관련 대출은 4조 5452억원 증가했다.
이는 6월(5조 7634억원)을 제외하면 올해 들어 가장 큰 폭이다.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3단계, 6·27규제 전 막차 수요가 몰린 영향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