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대전환에 1793억 푼다… ‘피지컬 AI·국산 반도체’ 집중 투자

공공·산업 혁신, 사이버 안보 강화, 디지털 격차 해소 등 '3대 목표' 정조준

2025-07-05     최진홍 기자

정부가 인공지능(AI)을 통한 국가 전반의 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해 1793억 원 규모의 제2차 추가경정예산(추경)을 긴급 투입한다. 특히 로봇, 자율주행 등 현실과 상호작용하는 '피지컬 AI' 원천기술 확보와 국산 AI 반도체(NPU) 상용화에 집중 투자해,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에 본격적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AI 분야 추경안이 5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밝혔다. 이번 추경은 경기 진작 효과를 극대화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이끌기 위해 ▲산업·공공 분야 AI 대전환 ▲AI 산업 생태계 강화 ▲국가 정보보호 및 디지털 포용 확대 등 3대 목표를 중심으로 편성됐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분야는 총 656억 원이 배정된 'AI 대전환'이다. 이 중 절반이 훌쩍 넘는 426억 원이 '피지컬 AI' 핵심기술 개념검증(PoC)에 투입된다. 이는 글로벌 빅테크들이 앞다퉈 투자하는 로봇, 드론 등 미래 AI 시장의 주도권을 놓치지 않겠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정부 부처와 민간 기업이 협력해 AI 솔루션을 개발·실증하는 '공공AX 프로젝트'(150억 원)와 AI 기반 의료 예후관리서비스 개발(40억 원) 등도 본격 추진된다.

사진=연합뉴스

AI 산업의 근간을 다지기 위한 투자도 대폭 강화된다. 정부는 유망 AI 스타트업 육성을 위해 500억 원 규모의 'AI 혁신펀드'를 추가로 조성한다. 또한, 국산 AI 반도체의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 300억 원을 투입, 최신 AI 모델과의 호환성 확보 및 고비용 설계자산(IP) 활용을 지원해 기업들의 수요처 확보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계획이다.

국민의 삶과 직결된 사이버 안보 체계 구축과 디지털 격차 해소에도 힘쓴다. 생성형 AI를 활용한 신속 침해 대응 체계 구축(50억 원), 주요 정보통신기반시설의 취약점 관리 강화(67.4억 원) 등 국가 정보보호 수준을 한층 끌어올린다. 동시에 전국 단위의 '(가칭)AI디지털배움터'(66억 원)를 구축하고 청년 대상 맞춤형 AI·SW 교육(34억 원)을 확대해 누구나 AI 혜택을 누리는 디지털 포용 사회 구현에 나선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추경은 공공, 산업, 민생 전반에서 AI가 실질적인 혁신을 이끌도록 연내 집행이 가능하고 가장 시급히 추진해야 하는 사업 중심으로 편성했다"며 "1차 추경으로 확보한 핵심 인프라를 바탕으로 AI 대전환을 더욱 속도감 있게 뒷받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