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 하반기도 ‘이벤트 장세’…美·中 패권 다툼이 ‘변수’
미국, 생산 내재화 강화…중국, CDMO·연구개발 역량 키워 점유율 확대
미국과 중국 간의 바이오 산업 주도권 확보를 둔 경쟁이 이어지면서 올해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도 제약바이오 업종이 이벤트에 의존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iM투자증권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상반기 제약바이오 업종은 이벤트에 휘둘렸다”며 “글로벌에서도 트럼프 2기 정부의 의약품 관련 정책으로 인한 불확실성은 지수의 하락을 유발시켰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미국이 의약품 정책을 앞세워 주도하는 바이오 패권전쟁이 하반기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은 대규모 투자와 정책적 지원을 통해 생산 역량 내재화와 연구개발(R&D)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트럼프 정부가 약가 인하, 생산시설 내재화 등 다양한 행정명령을 발표하면서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미국 내 생선설비 투자를 늘리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 정부가 의약품과 관련해 정책을 집행하는 배경에는 공공보험 재정 부담이 있다.
최근 미국의 의약품 수입과 수출 불균형은 심화하고 있다. 2023년 기준 미국은 1700억달러 규모의 의약품을 수입한 반면 수출 의약품은 1000억달러에 불과했다. 특히 고가의 전문의약품은 주로 유럽 국가를 통해 수입되고 있으며, 상위 5개국에서 발생하는 수입 비용이 전체의 54%를 차지했다.
문제는 수입된 전문의약품이 공공보험을 통해 처방되면서 재정 부담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이다. 2023년 기준 메디케어 처방약 지출은 1450억달러, 메디케이드는 510억달러에 달러로, 구조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공공보험 약제비 절감은 필수적인 상황이다.
반면, 중국은 바이오 시장에서 입지를 넓혀가고 있다. 중국은 중저가의약품과 CDMO(위탁개발생산)에 강점을 보이며 성장하고 있다. 제네릭 의약품과 API(원료의약품) 공급을 통해 글로벌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했으며 전임상부터 초기 임상 단계 수주를 기반으로 장기적 영향력을 구축하고 있다.
실제로 최근 글로벌 제약사들이 중국 바이오 기업들과의 라이선싱, 공동연구, 기술이전 계약을 확대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글로벌 제약사의 주요 계약은 58건이 발생했는데, 이 중 12건이 중국 기업과의 거래로 집계됐다. 규모를 공개하지 않은 기업을 제외하더라도 총 계약 금액은 33조원에 육박한다. 같은 기간 국내 바이오 기업들의 총 계약 규모가 9조원 수준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중국의 연구개발 역량의 성장을 보여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보고서는 “글로벌 바이오 패권을 지키기 위해 미국은 자국 중심의 바이오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움직임을 취할 것이다. 미국 정책의 수혜가 기대되는 산업을 선별적으로 주목해야 한다”며 “여기에 중국 기업과 계약하는 글로벌 제약사들이 늘고 있는 만큼, 향후 국내 기업이 개발 중인 모달리티 내에서의 경쟁이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