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산업부·국토부, 첫 조각서 빠졌다…법무부·행안부·복지부도 일단 보류

조직개편 등 주요 현안 맞물려 신중 모드

2025-06-24     김호성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6월 1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대통령실

이재명 대통령이 23일 첫 내각 인선을 단행한 가운데 아직 기획재정부 등 일부 부처의 장관 후보자 자리는 베일에 가려져 있는 모습이다. 전체 19개 정부 부처 가운데 이날 장관직 인선이 발표된 곳은 11곳, 아직 발표가 이뤄지지 않은 부처는 8곳이다.

특히 산업통상자원부,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등 핵심 경제부처가 모두 인선 발표에서 빠져 눈길을 끈다.

정치권에서는 산업통상자원부의 경우 기후에너지부 신설 문제 등 조직개편 이슈에 얽혀 있는 상황이 인선을 늦추는 배경으로 보고 있다. 이외에도 산업통상자원부는 관세협상이라는 시급한 현안이 맞물려 있다. 국토교통부 역시 부동산 문제에 대응할 적임자를 찾는데 신중을 기할 수 밖에 없다는 관측이다. 

기획재정부 청사. 사진 = 기획재정부 제공.

 

기획재정부의 경우 예산편성 기능을 떼어내는 방안을 포함한 조직개편안이 논의되고 있다는 점에서 조직개편의 폭과 방향에 따라 누구에게 조직의 수장을 맡길지도 달라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로는 구윤철 전 국무조정실장과 이호승 전 정책실장, 이억원 전 기재부 1차관,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의원 등이 거론되고 있다.

경제부처 외에는 법무부와 행정안전부의 수장이 발표되지 않은 점도 주목된다. 

법무부 장관 인선의 경우 검찰의 수사·기소 분리 등 정부의 검찰개혁 추진 상황과 맞물려 있다는 분석을 낳고 있다. '개혁의 상징'이 될 수 있는 인물을 새 장관으로 세워야 하는 만큼 이 대통령의 고심이 깊어질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법무부 장관직에는 비법조인 출신인 민주당 윤호중 의원이 거론된다. 검찰 출신인 민주당 박균택·이건태 의원이 거론된다. 대통령실의 국민추천제에서는 조국혁신당 박은정 의원에 대한 추천도 많이 이뤄졌다는 후문이다.

행정안전부의 경우에도 경찰국 폐지 등의 이슈가 걸려 있는 데다 새 정부에서는 행안부 장관이 부총리급으로 격상될 수 있다는 이야기도 돌고 있다. 핵심 부처 중 하나로 부상한다는 점에서 인선에 신중을 기하는 모습이다.

행정안전부 장관으로는 이 대통령이 대선 후보이던 시절 비서실장을 맡았던 이해식 의원이 검토 대상으로 거론되며 김경수 전 경남지사에 대한 인사 추천이 이뤄졌다는 얘기도 정치권에서 흘러나온다.

보건복지부,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도 이번 발표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한편 김민석 총리 후보자가 국회에서 인준을 받을 경우 남은 부처 장관에 대한 제청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큰 만큼, 김 후보자의 의견 역시 주요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