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뺑뺑이’ 아우성인데…“전담 전문의 사직 방치한 병원 있어”

의료 공백에 응급실 뺑뺑이 여전…李 의료 정책 참모 “의사 수 늘려야”

2025-06-12     이혜진 기자

최근 경남 창원에서 응급 환자가 상급병원으로 이송되지 못해 숨진 가운데 병상이 있어도 의사가 없어 치료를 못 받는 현실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후보 시절 ‘의료 정책 참모’ 역할을 한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2일 국회에서 열린 관련 토론회에서 “의료 대란 와중에 응급실 전담 전문의를 늘린 병원도 있지만 전담 전문의가 사직하는 것을 방치해 의사가 줄어든 병원도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2일 국회에서 열린 관련 토론회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이혜진 기자

김 의원은 “최근에도 발생하고 있는 응급실 뺑뺑이의 제일 큰 원인은 최종 치료를 담당하는 의사, 즉 수술하거나 중환자실에 입원시켜 환자를 봐야 하는 의사가 부족하기 때문”이라며 “다음으로 큰 원인은 응급환자를 평가하고 살릴 응급실 전담, 다시 말해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자료를 보면 국내 인구 대비 의사 수는 OECD 회원국 중 최하위권으로 2021년 기준 인구 1000명당 의사 수가 2.6명이다. 여기에 의정갈등까지 겹쳐 지난 3월 기준 전국 국립대병원 절반은 병상의 50% 이상을 비운 걸로 집계됐다. 병상 가동률이 60%를 넘는 곳은 서울대병원과 분당서울대병원을 비롯해 3곳에 그쳤다.

김 의원은 “(의정 갈등 등에) ‘의사가 부족한데 어떻게 최종 치료 의사를 구할 수 있느냐’고 반문할 수 있지만, 전체 의사 수는 굉장히 부족해도 응급실 전담 전문의와 관련 의사를 확충하는 데 필요한 의사의 수는 그렇게 많이 필요하지 않다”며 “정부의 정책적인 노력, 예를 들면 상급종합병원 지정 기준과 의료 질 평가 지원금에 있어 응급실 뺑뺑이 문제를 긴밀하고 유기적으로 연관시키면 병원들이 의사를 더 고용하게 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김 의원은 의사 수 부족 외에 왜곡된 응급의료체계도 응급실 뺑뺑이의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에서) 응급의료기관의 기능을 명확하게 정리하지 않았다”며 “예를 들면 권역센터와 지역센터가 각각 어떤 환자를 봐야 하는지 정하지 않아, 각 센터가 어떤 인력을 배치하고 이들의 당직 체계를 어떻게 운영할지 정해져 있지 않다”고 꼬집었다.

이어 “선진국에선 응급센터에 중증·응급환자가 너무 많거나 인력이 부족해 더 받을 수 없을 때 119에 ‘환자를 더 받을 수 없으니 데려오지 말라’는 사전 고지를 한다”며 “또 (감독기관이) 사전 고지의 적절성을 사후적으로 평가하도록 돼 있고 환자를 못 받는 상태가 일정 기간 이상 지속될 수 없게 돼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