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TX 전국 확대 외친 대선주자들…현실성은 떨어져

"부울경 외 지역은 수요 부족…GTX보다 지역 인프라 확충이 우선" 구체적 재원 대책 빠져

2025-05-28     박영규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왼쪽),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23일 서울 여의도 KBS 스튜디오에서 열린 제21대 대선 2차 후보자 토론회를 준비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6월 3일 대선을 앞두고 주요 후보들이 광역급행철도(GTX) 확대를 핵심 공약으로 내세우며 표심 잡기에 나섰다. 전국 5대 광역권까지 GTX를 확장하겠다는 계획이지만 막대한 사업비와 재원 조달 방안 부족으로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28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GTX-A·B·C의 조기 완공과 함께 D·E·F 노선의 단계적 추진을 공약했다. 여기에 수도권 외곽, 강원까지 연장을 지원하고 GTX플러스(G·H) 노선도 검토하겠다고 했다.

이재명 후보는 지난달 25일 페이스북을 통해 “서울·경기·인천은 하나의 경제 공동체가 돼야 한다”면서 "GTX-A·B·C 노선은 지연되지 않게 추진하고 수도권 외곽과 강원까지 연장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했다. 이어 "GTX-D·E·F 등 신규 노선은 지역 간 수요와 효율성을 고려해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경기도가 제안한 GTX플러스 노선도 적극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또 이재명 후보는 10대 공약 중 국토균형발전 분야로 5대 초광역권(수도권·동남권·대경권·중부권·호남권)별 광역급행철도 건설을 포함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도 임기 내 GTX-A·B·C 노선 개통과 D·E·F 노선 착공을 약속했다. 또 GTX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 충청, 광주·전남 등 전국 5대 광역권으로 확대해 '전국급행철도망'을 구축하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GTX-A 서울역 모습. 사진=연합뉴스

다만 후보들이 약속한 GTX 공약을 임기 내 모두 달성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막대한 사업비 부담 때문이다. 현재 진행 중인 GTX-B·C 노선도 지난해 착공식을 열었지만 공사비 상승과 사업성 악화로 재원 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며 1년 넘게 실착공이 미뤄진 상황이다.

GTX는 도심 구간에 지하 40~50m 깊이로 터널을 뚫어야 해 노선 하나당 4조~5조원에 달하는 비용이 소요된다. 후보들이 제시한 공약을 모두 추진할 경우 수십조원의 예산이 필요하다.

이 후보는 대규모 재정사업의 재원을 정부 재정 지출구조 조정분과 2025~2030년 연간 총수입 증가분으로 충당하겠다고 밝혔다. 김 후보는 민자 유치와 국비·지방비, SOC 예산 재조정을 통해 재원을 조달하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양 후보 모두 구체적인 재원 조달 방안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지방의 GTX 확장에 대해서도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방의 경우 수도권에 비해 인구 밀도가 낮아 사업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김진유 경기대 도시·교통공학과 교수는 "GTX-A·B·C를 5년 만에 다 완공하겠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워 보인다"며 "GTX는 상징적인 의미는 크지만 실질적인 혜택을 받는 사람 수나 수도권 집중 억제 측면에서 보면 최선의 대안이 아닐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방 확장에 대해서는 "부울경 정도는 순환 노선으로 필요할 수 있지만 다른 지역은 수요를 고려할 때 굳이 GTX로 건설할 이유가 없다"며 "GTX보다는 전철, 도로를 확보하고 그 지역의 일자리 창출, 의료, 교육 등 분야에 투자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