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테쉬 이어 '징둥'까지 한국 상륙…인천·이천에 물류센터 가동
징둥닷컴 국내 진입 절차 돌입 서울스퀘어에 사무실 마련
판둬둬(테무), 알리바바와 함께 중국 3대 이커머스 기업으로 꼽히는 '징둥'이 한국 시장에 진출한다.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에 이어 징둥까지 한국에 진출하며 토종 이키머스와 C커머스 간의 경쟁이 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2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중국 최대 이커머스 플랫폼 징둥닷컴(JD.com) 산하 물류기업인 징둥로지스틱스가 최근 인천과 이천에 자체 물류센터를 마련해 운영을 시작했다. 해당 물류센터는 한국을 비롯한 글로벌 판매자들을 위한 제삼자 물류와 풀필먼트(통합물류) 서비스를 제공한다.
징둥 이천 센터는 펫커머스 기업 전용 물류센터다. 인천 센터는 미국 글로벌 소비재 브랜드의 물류 대행과 국내 뷰티 기업 수출을 위한 전용 창고로 사용되고 있다.
징둥닷컴 계열 글로벌 이커머스 플랫폼 '징둥 월드와이드'를 통해 한국산 제품을 중국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해외 직접판매(역직구) 물류 서비스도 운영 중이다. 현재 서울과 경기도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12시간 내 배송서비스를 하고 점차 서비스 권역을 넓혀나갈 것으로 전해졌다.
주목할 점은 C커머스 기업 중 한국에 물류센터를 세워 직접 운영하는 것은 징둥이 처음이라는 점이다. 기존의 알리익스프레스나 테무가 중소 물류업체에 물류를 위탁해온 것과 차별화된 행보다.
한편, 1998년 설립된 징둥닷컴은 알리바바와 함께 중국 이커머스 시장의 양대산맥으로 불린다. 미국의 아마존이나 한국 이커머스 1위 업체인 쿠팡처럼 직접 상품을 매입해 판매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전개하며 2022년 기준 매출은 약 1517억 달러(약 217조원)로 쿠팡의 네 배가 넘는다. 최근에는 미국의 유력 경제지 포천(Fortune)이 선정한 글로벌 500대 기업 중 47위에 이름을 올렸다.
징둥닷컴은 지난 2018년 한국에 '징둥코리아'라는 법인을 설립했다. 설립 목적에는 각종 상품의 도소매업과 전자상거래, 통신판매업 등이 명시돼 있으며 2022년에는 국경 간 운송업 등을 포함한 물류사업을 추가했다.
지난달에는 구로디지털단지에 있던 한국 사무실을 울역 맞은편에 있는 서울스퀘어로 옮겼다. 해당 사무실은 국내 이커머스 플랫폼인 11번가가 과거 본사로 쓰던 건물이다.
유통업계는 징둥로지스틱스의 국내 물류센터 확보를 본격적인 한국 시장 진출을 위한 사전 작업으로 보고 있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이번 징둥의 한국 진출로 중국 3대 이커머스 업체가 모두 한국 시장에 들어오게 되었다"라며 "이들 기업이 본격적으로 저가 공세를 펼칠 경우 국내 기업들의 상황이 매우 어려워질 것으로 본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