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의대 정원 합리화”…洪 “집권 시 의료계 요구 수용”
李·洪 ‘2000명 의대 증원 무리’ 한목소리…구체적 내용은 없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경선후보와 홍준표 국민의힘 대선경선후보가 22일 의료계를 겨냥한 정책 행보에 나섰다.
대장동 재판 참석으로 공개 일정을 잡지 않은 이재명 민주당 대선경선후보는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계정에 의료 분야 정책을 내놨다.
이 후보는 윤석열 정부의 의대 증원으로 촉발된 의료 대란에 대해 사회적 합의를 전제로 “의대 정원을 합리화하겠다”고 밝혔다. 맥락상 ‘증원’을 시사하면서도 뒤따르는 논쟁이나 비판을 의식해 ‘합리화’라는 표현을 쓴 것으로 풀이된다.
이 후보는 의대 증원 시 이해당사자가 참여하는 ‘사회적 합의’도 강조했다. 그러나 알맹이인 숫자는 언급하지 않았다.
더불어 필수·지역 의료를 위한 공공의대 설립과 공공병원 확충을 약속했다. 이를 통해 의료 인력을 양성하겠다는 구상이다.
다만 구체적인 지역을 밝히지는 않았다. 전라남·북도가 각각 유치전을 펼치는 가운데 한 쪽으로 가르마를 타지 않은 셈이다. 이는 호남권 경선을 앞두고 지역 갈등으로 불거질 이슈에 깊숙이 관여하지 않겠단 의도로 보인다.
같은 날 홍준표 국민의힘 대선경선후보는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 관계자들을 만난 뒤 “우리가 집권하면 의료계 요구 4개를 바로 받아들이겠다”고 말했다.
간담회에는 의협 김택우 회장과 박단 부회장 등도 참석했다. 이후 기자들과 만난 홍 후보는 “2년간 끌어오던 의료계 파동을 돌아보니 정부가 (의협의 요구를) 받아들이는 것이 맞다”고 밝혔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요구를 받아들이겠단 것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홍 후보는 “결국 정부가 무너지게 된 첫 번째 단초는 의료계와의 충돌”이라며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에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실제로 그는 그동안 ‘순차적 의대 증원’을 주장해왔다.
홍 후보는 “정부에서 갑자기 (의대) 정원을 2000명 증원하겠다고 발표했을 때 ‘무리다’, ‘그렇게 하면 안 된다’고 했지만 대구시장이다 보니 중앙정부에 대한 영향력이 없었다”며 “그래도 (윤석열 정부가) 안 듣고 밀어붙이니까 할 말이 없어서 그만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