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인도네시아서 첫 해외 폐기물 활용 수소 생산 추진

글로벌 수소생태계 서밋서 '자원순환형 수소솔루션' 실행계획 공개

2025-04-15     양정민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인도네시아에서 유기성 폐기물을 활용한 수소 생산 프로젝트를 본격화한다. 그룹 차원의 해외 첫 '자원순환형 수소 솔루션(W2H)' 도입 프로젝트다.

현대차그룹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글로벌 수소 생태계 서밋 2025'에서 인도네시아 정부 및 국영 에너지기업 페르타미나 홀딩스와 함께 추진 중인 'W2H 수소 생태계 조성 프로젝트' 세부 계획을 발표했다고 15일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서부 자바주 반둥시 인근 사리묵티 매립지에서 추출한 바이오가스를 활용해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사리묵티 매립지는 반둥시에서 하루 발생하는 약 1500톤 폐기물의 80%가 처리되는 곳이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13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B20 서밋 인도네시아 2022(B20 Summit Indonesia 2022, 이하 B20 서밋)’ 기후변화 위기 해결을 강조하는 기조연설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현대차그룹

구체적으로 매립지 개발 전문회사 세진지엔이와 협력해 매립지를 복토하고 이곳에서 추출한 바이오가스를 현대로템의 수소 개질기를 통해 청정 수소로 변환한다. 현대차그룹은 이미 기술 타당성 조사를 완료하고 연내 설비 착공을 목표로 서부 자바주와 협의 중이다.

W2H는 음식물 쓰레기, 하수 슬러지, 가축 분뇨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에서 발생한 메탄을 정제해 바이오가스를 만든 후 수소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지역 내 수소 생산 거점 조성으로 운반·저장 비용을 절감하고 수소 자원의 독립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국내에서도 충주시 음식물 바이오센터, 청주시 공공하수처리장, 파주시 미니 수소도시 조성 등 여러 지역에서 W2H 모델을 성공적으로 운영 중이다.

인도네시아 프로젝트는 현대차그룹이 국내 유수 기관 및 기업들과 구성한 컨소시엄을 통해 진행된다. 2027년까지 페르타미나 홀딩스가 제공한 부지에 수소 개질기 설치 및 수소 충전소 구축을 완료할 예정이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열린 세계 최대 IT·전자 전시회 'CES 2024'에서 인도네시아 서부 자바주에 유기성 폐기물을 수소로 전환하는 '자원순환형 수소 솔루션'(W2H)을 도입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3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HLI그린파워 준공식에서 인사말을 전하고 있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사진=현대차그룹

이날 행사에는 바흐릴 라하달리아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 장관을 비롯해 국가개발부, 인프라부, 경제조정부 고위 인사들이 참석했다. 인도네시아 수소협회(IFHE) 주최로 국가 차원의 수소 로드맵 및 주요 사업 사례가 소개됐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이번 인도네시아 W2H 수소 생태계 조성 프로젝트는 국내에서 성공적으로 전개 중인 자원순환형 수소 생산 실증 사업을 해외로 확장한 첫 사례"라며 "수소 비즈니스 브랜드 HTWO를 통해 인도네시아 정부 및 기업과 협력해 수소 생산을 확대하고, 수소 사회를 더욱 가속화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